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오름 > 인권이야기

[김이찬의 인권이야기] ‘멍하게’ 지내는 시간

낯선 세계를 탐색하는 멋진 스무 살 노동자들에게 박수를

2013년 여름, 지구인의 정류장에는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이주노동자들이 짧게는 며칠에서 길게는 3개월 정도를 이곳에서 머문다. 체류자는 조금씩 바뀌지만 매일 50여명의 사람들이 숙식을 하며, 구직활동을 하고, 세상 소식을 나누고, 가까운 곳을 놀러 다니며 지낸다.

이 노동자들은 ‘등록된 직장에 취업을 하고 있는 한에서만 허락되는 체류권’을 갖고 있다. 즉, ‘등록된 일터에서 사장의 허락 없이 5일 이상 떠나있으면, 사용자가 이탈신고’를 하여 미등록 체류자 신세가 된다. 이런 미등록 상태에 있으면, 언제라도 출입국관리소 직원들에 의해 단속되어 ‘외국인보호소(사실은 감옥과 비슷함)’에 억류되고 고향으로 강제출국당하는 처지가 된다. 따라서 고용허가비자로 입국한 노동자가 ‘일터가 아닌 곳에서 5일 이상 머문다’는 것은, ‘체류권의 몰수’ 위험을 감수하는 위험천만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지구인의 정류장' 쉼터에 거주하는 노동자들이 소래포구 인근 폐염전지대에 전철로 산책 가서 노는 모습

▲ '지구인의 정류장' 쉼터에 거주하는 노동자들이 소래포구 인근 폐염전지대에 전철로 산책 가서 노는 모습


그러나 체류자들 중 많은 사람은 도저히 ‘근로관계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 있는 이들이 많다. 사용자와 ‘합리적인 조정’을 할 수 있는 경우란 극히 드물다. 그래서 노동자들은 부당하거나 위법한 내용을 경찰에 고발하거나 노동청에 진정을 하여 자신의 권리를 지키고자한다. 그런데, 이러한 진정의 결과는 불투명하고 그 기간이 길다. 노동청 등의 조사기간이 3개월, 혹은 그 이상으로 길어지기도 한다. ‘노동청이나 경찰의 조사가 소극적이거나, 그들이 납득할 충분한 증거를 제출하지 못하면’ 원하는 결정을 못 얻을 수도 있다.

그러니 이주노동자가 이곳에 숙식하며 머물고 있다는 것은 ‘낯선 나라에서, 체류허가(비자)를 위협받으며, 기약 없는 실직생활 ’을 하는 것이다. 이들의 표현대로 ‘일 없어, 돈 없어, 집 없어, 미래 몰라, 비자 몰라.’ 상태이다. 노동자들은 지난 1~2년간 과도한 노동으로 자기 삶을 꽉 채우고 지내다가 갑자기‘아무것도’없는 상태가 된 것이다.

7월, 무더위와 지리한 장마가 가뜩이나 위축된 사람들을 더 지치게 한다. 나는 가끔 “이봐요 ? 이름이 뭐랬죠? 멍하니 있지 말고 뭐라도 해봐요! 당신이 원치 않았지만, 지금 실직자일 때, 오히려 배울게 많아요. 이곳 저곳 다녀볼 수도 있고... ”라고... 쉬고 있는 노동자들을 자극해본다. 하지만 이제 갓 스무 살 언저리의 여성노동자들이 ‘멍~하니’ 앉아 있는 때가 많다.

왜 멍하게 지내냐고?

생각해보면, ‘멍 하게 앉아있는’ 시간이 필요하기도 할 것이다. 이들은 한국에 오기 전에 고등학교를 졸업하였거나 중퇴하였거나, 집일을 도우면서 야간교실에 공부하러 다니다가, 열심히 낯선 언어를 익히고 '한글시험'에 합격하였을 것이다. 마침내 '한국에 가게 되었다'는 통보를 받고, 가슴 설렘 속에서 난생 첨 비행기를 타고 고향땅에서 낯선 세계로 떠나왔다.

그렇게 낯선 땅에 오자마자 그들이 접한 현실의 경우 수는 그리 많지도 않다.

지구인의 정류장 옥상에서 종이접기를 하는 모습(왼쪽), 반월공단 초입의인적드문 전망대에 산책가서 노는 모습(오른쪽)

▲ 지구인의 정류장 옥상에서 종이접기를 하는 모습(왼쪽), 반월공단 초입의인적드문 전망대에 산책가서 노는 모습(오른쪽)


먼저, 한 달에 한 번 쉬며 11시간씩 일하는 중노동을 했는데, 사장님이 서류상의 사장님이 아니었다는 것을 두 달이 지난 뒤에야 알고서, 겁이 덜컥 나서 옆 농장에서 지난 일 년 동안 일한 선임노동자가 나가자 엉겁결에 따라 나온 경우

둘째, 그렇게 매일 11시간씩 일한지 4개월이 되어 가는데, 월급이 한 번도 제대로 안 나왔는데, 사장이 ‘나중에 줄게 일해!’라는 말만 들을 뿐, 여전히 무임금 장시간 노동을 강요당하는 것에 질려서 ‘나는 불법체류할거야’라는 심정으로 뛰쳐나온 경우,

셋째, 한국에 온 지 2개월 반, 드넓은 비닐하우스 밭 한가운데에 보내져 ‘한국이란 나라는 비닐하우스 나라이구나!’ 느낄 뿐, 자기일터 동네이름, 주소도 잘 모르는데, 그나마 일터에 모국 출신 선임 노동자들이 있어서 안도하고 장시간 노동을 감내하고 있었는데, 그 선임여성노동자들이 “사장 아들이 상습적으로 우리들 몸을 만져. 싫다고 소리 질러도 만져. 그래서 우린 다음 주에 여길 떠날 거야. 넌 아직 아이디카드도 없는데 어떡할래? 니가 만일 이 곳을 떠나지 않게 되면..., 사장아들과 둘이만 절대로 같이 있지 마!”라고 말해주자, 질겁을 하고 “나 혼자 여기서 어떻게 지내? 언니들 갈 때, 나도 따라가게 해 줘!”라고 청해서 일터를 탈출한 사람들이다.

이런 상황에서 어찌 멍하지 않을 수 있으랴?

낯선 땅에서 발 디딘지 2개월에서 7개월 만에 돈, 일터, 직장을 잃고, 하소연할 친구도 아직 없다면..., 혼자 한적한 곳에 가서 울거나, 베란다 난간에 걸터앉아 멍하니 먼 산을 바라보거나, 머리 빗고 고대기로 고대하고, 정성껏 차려입고 거리에 나가 사람구경하다가 1,000원짜리 핀을 고르고 골라 사오는 것은, 이 얼마나 건강하고 대견한(?) 자기치유 행위인 것이냐 !

낯선 세계를 탐색해나가는 멋진 스무 살 노동자들에게 박수 !!!
덧붙임

김이찬 님은 지구인의 정류장의 상임역무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