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척이다] 활동비, 프로젝트 사업, 그리고 장애인이라는 뫼비우스의 띠?
어느 활동가들의 대화 가 : 활동비에 얽매이는 활동은 활동비를 위해서 자신과 타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으로부터 활동비를 받지 않아야 해. 나 : 활동가들의 활동비를 벌기 위해서 조직이 재정사업을 해야 하 [...]
어느 활동가들의 대화 가 : 활동비에 얽매이는 활동은 활동비를 위해서 자신과 타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으로부터 활동비를 받지 않아야 해. 나 : 활동가들의 활동비를 벌기 위해서 조직이 재정사업을 해야 하 [...]
인권운동사랑방 자원활동가 김OO 성폭력사건 성립 결정 및 조사 개시 알림 사건의 경과 1. 지난 2006년 7월 26일 인권단체 ‘팔레스타인평화연대’와 ‘경계를너머’(아래 두 단체)는 홈페이지를 통해 ‘자원 [...]
<편집자주> [외침]은 한국사회의 인권현장, 바로 그곳에 있었고 지금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가공 없이 그대로 담는 기획이다. 지식인이나 활동가 등은 글쓰기 등을 통해 자기 얘기를 남기 [...]
행진이 끝나고 잠시 지쳐버린 몸을 달래기 위한 휴식을 가진 지 어느덧 사흘이 지났다. 정신없이 잠을 잔 휴식기간 이었지만, 꿈에서도 행진의 기억이 떠오를 정도로 아직도 머릿속, 가슴속 행진의 추억은 나에게 [...]
거센 탄압 속에서 1980년대 중반부터 일어나기 시작해 1989년 정점을 이루었던 청소년들의 저항은 1990년에도 계속되었다. 그러나 정부와 학교의 탄압은 끈질겼고, 청소년들의 징계철회 투쟁으로도 그것들을 [...]
지난 7월 26일 인권단체 ‘팔레스타인평화연대’와 ‘경계를넘어’는 ‘자원봉사자 김00 회원 제명의 건’을 공개했다. 두 단체에 따르면 김00은 ‘팔레스타인평화연대’의 회원으로 가입한 후 5일동안 두 단체의 [...]
성람재단 문제가 외부로 알려진 계기는 2003년 노동조합이 결성되어 장애인 인권회복과 성람비리재단의 퇴진을 요구하며 6개월간 파업농성을 진행한 것이었다. 성람재단의 한 요양시설에서 생활하던 아이가 ‘지갑에서 [...]
올해 한국의 사회운동은 평택 전쟁기지 건설 저지 투쟁에 이어 한미 FTA 협상 저지 투쟁에 집중하였다. 미국의 신자유주의 세계화 전략이 한국에서 경제적, 군사적으로 관철되는 과정이 위의 두 사안으로 표출되었 [...]
7월 14일 1만5천여 명이 서울로 운집한 한미 FTA 반대집회에서 경찰의 물리력을 넘어 광화문 사거리를 뚫고 청와대로 가기위해 싸웠던 그 시위대는 정작 미대사관 앞에서 조용히 마무리 집회를 끝내고 흩어졌다 [...]
1. 임시 집행조정을 정했어요상반기에도 그랬지만 평택미군기지확장 저지 운동이 주요한 하반기 정세입니다. 지난 5월 강제행정대집행 이후 본격화된 평택 운동에 사랑방이 적극 결합해 왔고 지난 6월에는 <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