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민중의 인권현장] “생사라도 확인했으면”
보주푸르는 2년 전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카트만두(네팔의 수도)로 떠났다. 그러나 일자리를 구하기는커녕 탄코트 검문소에서 보안경찰에게 체포됐다. 가족들은 아직도 그의 생사 여부조차 모르고, 경찰들은 입을 굳 [...]
보주푸르는 2년 전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카트만두(네팔의 수도)로 떠났다. 그러나 일자리를 구하기는커녕 탄코트 검문소에서 보안경찰에게 체포됐다. 가족들은 아직도 그의 생사 여부조차 모르고, 경찰들은 입을 굳 [...]
<불타는 필름의 연대기>는 기획 의도대로 현재 한국 사회의 여러 단면을 담은 ‘기록영화’다. 성난 아이가 손아귀에 붉은 벽돌 조각을 들고 담벼락을 따라 ‘부욱’ 긁고 가듯, 카메라는 현장에서 현장 [...]
<편집자주> [외침]은 한국사회의 인권현장, 바로 그곳에 있었고 지금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가공 없이 그대로 담는 기획이다. 지식인이나 활동가 등은 글쓰기 등을 통해 자기 얘기를 남기 [...]
보/도/자/료 발 신 : 평택미군기지확장 저지 서울대책회의 수 신 : 각 언론사 사회부 일 시 : 2006년 7월 3일 제 목 : 평택 미군기지 확장 저지 및 한미 FTA협상 반대를 위한 285리 평화 [...]
결국 한국 축구팀이 월드컵 16강에 오르지 못했다. 뜨거웠던 월드컵에 대한 전국민적 열기는 언제 그랬냐는 듯 16강 진출이 좌절되자마자 급격히 식어버렸다. ‘축구와 월드컵을 사랑한다’던 그 많던 사람들은 도 [...]
꺼지지 않은 불씨 1987년 6월 항쟁의 불꽃은 한 번 타오르고 끝날 것이 아니었다. ‘고등학생운동’(*)도 그 영향을 받은 곳 중 하나였다. 청소년들은 1987년을 계기로 더욱 본격적인 자주적 학생회 운동 [...]
미군기지로 멍들어 있는 용산에서 인권영화제가 열렸습니다. 민주노동당 용산구위원회 당원모임인 진보정치연구회가 6월 17일부터 18일까지 이틀 동안 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인권영화제를 개최했던 것이죠. 지난 몇 [...]
1. 경찰 인권침해 대응 매뉴얼 ‘아직도’ 제작 중~ ^^; 경찰에 의한 인권침해 대응 매뉴얼이 ‘아직도’ 제작 중입니다. 올해 상반기 발행을 목표로 하고 있었으나 발행 시기가 점점 늦어져 부끄럽습니다. 하 [...]
지금 나는 사랑방 자원활동을 잠시 쉬고 있는 중이다. 신자유주의와 인권팀에서 ‘주거인권학교’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몇 가지 핑계로 잠시 휴식을 갖기로 했다. 8주 동안 매주 토요일마다 있었던 주거인권학교는 [...]
4월 15일 시작된 ‘노숙당사자모임과 함께하는 주거인권학교’는 6월 3일 마지막 프로그램인 <보고싶은 인권뉴스>로 막을 내렸다. 마지막 날 프로그램을 끝내고 진행한 평가간담회에는 주거인권학교를 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