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처벌 남발 대신 아동 여성 인권보장에 앞장서야
부산 여중생 살해사건 이후 이귀남 법무부장관은 ‘보호감호소’의 부활, ‘사형’ 재개, ‘전자발찌’ 소급적용 등을 예고하고 나섰다. 그러나 그것들이 과연 피해자를 위하는 길일까? 또한 아동 및 여성, 사회적 [...]
부산 여중생 살해사건 이후 이귀남 법무부장관은 ‘보호감호소’의 부활, ‘사형’ 재개, ‘전자발찌’ 소급적용 등을 예고하고 나섰다. 그러나 그것들이 과연 피해자를 위하는 길일까? 또한 아동 및 여성, 사회적 [...]
사후 처벌 남발 대신 아동여성 인권 보장체계 마련하라 사형집행 재개, 전자발찌 확대는 아동·여성의 안전을 위한 것이 아니다
안녕하세요. 올해 2월부터 <인권오름>을 만들고 있는 최은아 라고 합니다. <인권오름>을 만든 지 6주를 간신히 넘어서고 있으니 새내기 편집인 이지요. 처음 시작할 때 인사를 하지 않고 [...]
당신에게 집이란 얼마 전 한 친구와 같이 빈집에 대한 인터뷰에 응한 적이 있었다. 두 세 시간동안 긴 수다를 떨면서 빈집 생활을 되짚어볼 수 있는 좋은 인터뷰였다. 그 와중에 귓가에 계속 맴도는 물음이 하나 [...]
몇 년 전 어느 뒤풀이 자리였다. 사학과 대학원생이 자리를 같이했다. 마침 논문을 쓰던 때라 석사 논문 주제에 대한 질문이 오갔다. “아이티 혁명에 대해 쓰려고요.” 순간 모두들 멈칫 했다. “사학과에서 왜 [...]
어느새 용산참사가 일어난 지 1년이 지나고, 이제 이곳을 나가야 하는 시점이 되니 마음이 무척 복잡해집니다. 제 발로 걸어 나가야 하는데, 그냥 잊고 돌아서야 하는데, 아무리 1월 25일까지 용산 현장을 비 [...]
새해가 밝았네요. 2009년은 용산에서 시작해 용산에서 끝난 것 같은 한 해였어요. 하루하루를 돌아보기 시작하면 밑도 끝도 없는 한 해였죠. 인권운동사랑방을 후원해주시는 여러분들은 또 어떻게 2009년을 돌 [...]
경찰청의 시간여행, 반공주의 경찰청 보안과에서 교육 현장에 납셨다. 청소년들이 우리나라 안보현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안보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경찰청 홍보예산 약 9천만 원을 들여 제작한 청소 [...]
2009년 5월과 6월, 대한민국에는 시국선언이 끊이지 않았다. 그 때 대한민국에는 대학교수부터, 교사, 작가, 청소년, 블로거 시국선언까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시국선언이 쏟아졌다. 위키백과에 [...]
RAWA -아프간 여성 혁명연합- 사이트(www.rawa.org)에는 아프가니스탄의 최근 상황에 대한 각종 보고서와 보도 자료가 많이 있다. 그중에서 여성인권상황에 대해 개관하는 보고서와 최근 반전운동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