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을 바로 세우는 사람들』
한겨레신문전국독자주주모임 지음/ 살림터/ 380쪽/ 1만원 80년대 변혁운동의 성과를 기반으로 창간된 한겨레신문의 알려지지 않은 '또 하나의 역사'를 조명한 책이 나왔다. 한겨레신문전국독자주주모임에서 펴낸 [...]
한겨레신문전국독자주주모임 지음/ 살림터/ 380쪽/ 1만원 80년대 변혁운동의 성과를 기반으로 창간된 한겨레신문의 알려지지 않은 '또 하나의 역사'를 조명한 책이 나왔다. 한겨레신문전국독자주주모임에서 펴낸 [...]
지난해 '복제양 돌리'의 탄생과 더불어 '생명공학의 유용성과 위험성'이라는 주제가 인간사회의 비상한 관심거리로 등장한 바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어디까지 추구되어야 하는 것인가?" "인류를 파멸로 이끌 [...]
문화적 정체성과 양심의 자유를 지킬 권리 한 인간의 의미있는 삶이란 개인적인 차원에만 한정되지 않고 타인과 함께 하는 공동체적 차원에 토대를 둔다. 아시아적 전통은 공동의 문화적 가치를 중시한다. 문화적 가 [...]
인간성의 연대를 위한 아시아 인권헌장선언대회가 17일 아시아인권헌장을 선포함으로써 막을 내렸다. 이번에 채택된 아시아 인권헌장은 "아시아인으로 하여금 모든 형태의 차별 즉 성차별, 인종차별, 계급차별, 토 [...]
제 1주제: 아시아 인권 현실의 재확인 식민주의적 경험과 그 이후에도 지속되어 온 서방 세계의 착취 속에서 아시아 지역의 인권은 방임되어 왔다. 더욱이 최근에는 "지구화, 자유화, 민영화"로 표현되는 신자유 [...]
지난 겨울 프랑스는 실업과 빈곤에 저항하는 실업자, 무주택자, 이민노동자, 임금노동자, 학생, 여성들의 "우리에게 직장을! 빈곤이 아니라 부를 나누자!"는 연대의 함성으로 가득찼다. 인구의 12.4%인 3백 [...]
'다자간 투자협정'(MAI, Multilateral Agreement on Investment). 아직 우리 국민들에겐 이름조차 생소한 이 협정의 체결을 둘러싸고 자본과 민중진영 간의 힘겨루기가 한창이다. [...]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주요과제로 떠오르는 '안기부 개혁' 문제 가운데 과거 인권유린 행위에 대한 진실규명과 사죄, 책임자 처벌의 문제는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지적된다. 9일 민가협 집회에서 발표 [...]
9일 오후 2시 탑골공원 앞에서 제224차 민가협 목요집회가 열렸다. 이날 집회에서는 특히 안기부에 의한 과거 인권유린 행위가 집중적으로 폭로되었고, 안기부 개혁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집회에 참석한 [...]
제54차 유엔인권위원회에서 '인권운동가를 위한 선언'이 채택됐다. 지난 3일 유엔인권위원회는 '인권운동가 선언 초안'과 '결의안'을 각각 통과 시켰으며, 이 초안은 유엔경제사회이사회와 유엔총회를 통해 정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