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기획탈북의 실상> ① 인도주의를 가장한 인신매매

대사관을 뚫어라

기획탈북으로 인한 인권유린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기획탈북은 탈북브로커, NGO, 선교단체, 언론, 정보당국의 합작품이라는 것이 피해자들의 증언이다. 인권하루소식은 연재를 통해 기획 탈북의 인권유린 실태를 알리고 그 해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탈북자 증언의 자료는 월간 {말}이 제공했다.(편집자 주)

"돈을 벌기 위해 우리를 햇빛도 가린 아파트에 가두어 놓았다가 대사관에 집어넣는 게 인도주의입니까? 그것은 인권을 유린하는 것이지 인도주의가 아닙니다. 모집책들은 바깥으로 열쇠를 채우고 하루에 한 번씩 왔다가고 큰 소리로 말도 못하게 합니다. 말을 잘 듣지 않으면 폭행을 하기도 합니다. 철조망 없는 감옥이었습니다."

지난 9월 29일 캐나다 중국 대사관에 진입하려던 탈북자 중 한 명인 이모 씨는 이른바 '아지트' 생활을 이같이 증언한다. 두 번의 강제송환 경험이 있는 그녀는 대사관 진입 직전 극적으로 탈출했다. 이 씨는 9월 중순 경 한국행을 약속하며 접근하는 '모집책'의 말을 믿고 북경까지 와 한 아파트에 감금된다. 모집책들은 이 씨 등을 비디오로 촬영하면서 "만약 탈출해서 은신처가 발각되면 북에 있는 가족을 가만두지 않겠다"고 협박하고 "한국 국정원에서 자신들을 보호해주기 때문에 여기서 있었던 사실을 누군가 고발해도 바로 알 수 있다"는 말도 내뱉었다고 한다. 이들 대부분은 말투와 행동을 미루어 '탈북자 출신'이라고 이 씨는 증언한다.

이 씨는 들어가서 먼저 '입단속과 대사관 진입 방법'이라는 '교육'을 받았다. 교육이 끝나면 한 사람씩 각서를 쓰는데 "한국 땅에 도착하면 계약한 5백만원을 지급하며 이를 어겼을 경우 법률적인 조치를 취해도 할 말이 없다"는 내용이다. 탈북자들이 한국에 오면 받는 정착금을 노리는 것. 한국에 가면 브로커들이 이 빚을 독촉하는데 이들 대부분이 상황을 잘 아는 탈북자 출신이어서 발뺌을 할 수도 없다. 식당이나 유흥업소 또는 중국인과 동거하던 탈북 여성들은 위안화 몇 천원은 가지고 있는 것이 대부분인데 "대사관에 들어가면 돈이 필요 없다"는 이유를 들며 빼앗아 간다.

탈북자들은 대사관 진입을 위해 주로 4개조로 조직된다. 그들은 1조와 4조를 '총알받이' '고기밥'이라고 한다. 이들은 돈을 미리 못낸 '후불제' 사람들. 1조가 출격해 길을 뚫어 놓으면 2조와 3조가 비교적 안전하게 들어가고, 나머지 4조가 그들을 엄호하며 마지막으로 돌격하는 식이다. 공안에 잡혀가는 것은 주로 1, 4조의 사람들이며 이 광경은 서구 언론의 좋은 '기사 거리'가 된다고 탈북자를 취재해온 비디오 저널리스트 조천현 씨는 말한다. 이 씨는 타격조로 사용할 사람이 모자랐기 때문에 다른 탈북자 두 명과 함께 그 인원을 채우러 나온 것이다. 그 중 한 명은 경비 3천 위안을 받고 북으로가 한국 정보당국에서 요구하는 '문건'과 함께 '보위부 가족'을 빼오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는 북에서 작업을 하다 체포되었고, 다른 한 명은 탈북자들을 모아 다시 돌아갔다가 중국 공안에 발각돼 숨어있던 62명과 함께 강제송환된 것이다.

조천현 씨는 기획탈북 전문조직이 한국, 중국, 북한을 네트워크로 연결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큰 조직은 북경주재 공관에 진입시키는 '북경파'와 베트남과 몽골을 통해 한국으로 입국시키는 '베트남파', '몽골파' 그리고 연길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김사장파'가 있다고 조 씨는 설명한다. 지난 7월 동남아에서 4백 50명의 기획망명 이후 베트남과 몽골 루트는 막혀 최근에는 북경주재 공관을 이용한 기획탈북이 늘고 있다. 브로커들 역시 비용도 적게 들고 언론 효과도 볼 수 있는 '대사관 진입'을 선호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