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스케치> 아름다운 아이들의 겨울 외출
“저의 경험을 솔직히 풀어놓으면서 생각없이 저질렀던 일들을 많이 반성했습니다. 나도 무언가 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얻었구요.” 22일 장충동 여해문화공간에서 열린 연극 ‘아름다운 아이들 2’를 준비하면서 비 [...]
“저의 경험을 솔직히 풀어놓으면서 생각없이 저질렀던 일들을 많이 반성했습니다. 나도 무언가 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얻었구요.” 22일 장충동 여해문화공간에서 열린 연극 ‘아름다운 아이들 2’를 준비하면서 비 [...]
변방 Outskirt 우크라이나/1998년/감독 피터 뤼지크/제작 레브 카그노/95분
아마 96년 봄이었을 거다. 봄 대동제를 매개로 ‘휘청거리는 대학사회’를 취재하려 했다. 85년 대학에 들어가 단 30초도 버티지 못한 거리시위부터 87년 6월 항쟁까지 경험한 나로선, 90년대 학생운동이 [...]
정부가 유엔인권이사회에 참가해 노동자들의 파업을 일방적으로 매도한 것으로 밝혀졌다. 유엔인권이사회 1791차 회의자료에 따르면, 정부 대표단은 지난 10월 22일 열린 ‘시민·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조약’ [...]
5일 유엔인권이사회가 발표한 한국정부의 자유권조약 2차 보고서 심의결과는 국가보안법 문제 등을 비롯해 시민․정치적 권리에 관한 인권문제를 23개 조항으로 나누어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내에서 대표적인 [...]
“동티모르의 투쟁은 자유와 인권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원한 것은 정의와 인권이 보장되고 국민의 의사가 존중되는 나라입니다. 만약 동티모르가 이런 원칙을 저버린다면 지난 42년간의 독립투쟁과 나의 인생 [...]
“노근리 문제에 대해 한국의 시민단체에선 어떻게 대응하고 있죠?” ‘대구라운드 세계대회’(10월 6~8일, 대구 경북대 대구은행 연수원)에 참석한 네덜란드의 환경단체이자 국제통화기금-세계은행 조사․감시 단체 [...]
박찬운지음/ 한울아카데미/ 3만원/ 455쪽 “외국의 경우 국내법과 국제법은 밀접한 상관관계 속에서 하나의 법체계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국제적 인권이라는 개념의 인식부족으로 두 법을 분리해 [...]
국가보안법 국제캠페인팀/ 창간 준비호(9월 5일자 발행) 왜 나는 국가보안법 폐지를 위해 싸워야만 하는가? 사상과 양심의 자유를 위해서…라는 내용의 대답이 예상되는 질문에 최보은 케이블TV가이드 편집장은 “ [...]
우리는 과거 군사정권의 횡포 앞에서 숨죽여 엎드리면서 그 기나긴 어둠 뒤에 민주주의 대명천지가 열릴 것이라고 믿었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요즘 나는 그것이 너무도 천진스러운 착각이었음을 뼈저리게 자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