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췌> 아시아 인권헌장(2)
문화적 정체성과 양심의 자유를 지킬 권리 한 인간의 의미있는 삶이란 개인적인 차원에만 한정되지 않고 타인과 함께 하는 공동체적 차원에 토대를 둔다. 아시아적 전통은 공동의 문화적 가치를 중시한다. 문화적 가 [...]
문화적 정체성과 양심의 자유를 지킬 권리 한 인간의 의미있는 삶이란 개인적인 차원에만 한정되지 않고 타인과 함께 하는 공동체적 차원에 토대를 둔다. 아시아적 전통은 공동의 문화적 가치를 중시한다. 문화적 가 [...]
인간성의 연대를 위한 아시아 인권헌장선언대회가 17일 아시아인권헌장을 선포함으로써 막을 내렸다. 이번에 채택된 아시아 인권헌장은 "아시아인으로 하여금 모든 형태의 차별 즉 성차별, 인종차별, 계급차별, 토 [...]
근로복지공단이 'IMF체제 극복대책'의 하나로 산재 피해자들에 대한 보험급여를 줄이도록 조치한 것과 관련, 노동계와 산재관련 단체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근로복지공단 보험급여국은 지난 2월 「IMF체제 [...]
천주교 주교들이 양심수 석방문제를 거론하고 나섰다. 27일 한국천주교주교회의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박석희 주교)가 주최한 '양심수' 세미나는 주교들이 '양심수 문제'에 대해 공식적으로 가진 최초의 세미나로서 [...]
인권하루소식 합본9호가 드디어 나왔습니다. 'IMF'체제 아래 노동자·민중생존권의 위기, 인권운동가 서준식 씨의 구속 등 멈추지 않았던 공안당국의 인권유린, 가정폭력방지법의 제정 등으로 커다란 족적을 남긴 [...]
아시아 1백50여 개 민간단체들이 4년여 동안 준비해온 '아시아인권헌장'(헌장)이 오는 5월 광주에서 선포된다. 이번에 발표되는 헌장은 다른 대륙과는 달리 아시아 지역에서는 최초로 이뤄지는 작업이어서 그 의 [...]
김대중 정권은 기다리고 기다리던 대통령 취임 경축 대사면을 단행하였다. 스스로 "건국이래 최대의 사면"의 은전을 입은 사람들이 무려 552만여명에 이른다고 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깊은 실망감을 넘어 배신감마 [...]
Ⅰ. 서설: 인권문제의 현재적 지평과 인권사회학의 의의 1. 인권사회학의 규범적 및 이론적 기초 2. 인권의 개념과 구성요소-인권관념의 여러 동학 3. 인권 관념의 형성과 인권론의 역사적 전개 4. 근대 [...]
과거 인권피해자였던 김대중 씨가 대통령에 취임함에 따라, 그동안 인권개혁에 목소리를 높여왔던 인권단체들이 '새 정부와 어떠한 관계를 설정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25일 <인권하루소식&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