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97 국제앰네스티 연례보고서- 남한
국제앰네스티는 97년 한해 남한의 주요인권문제로서 노동법 개정, 양심수, 경찰폭력, 국가보안법 적용, 고문, 그리고 사형제도 등을 꼽고 있다. 이는 과거의 연례보고서와 크게 다르지 않은 내용으로, 한국의 이 [...]
국제앰네스티는 97년 한해 남한의 주요인권문제로서 노동법 개정, 양심수, 경찰폭력, 국가보안법 적용, 고문, 그리고 사형제도 등을 꼽고 있다. 이는 과거의 연례보고서와 크게 다르지 않은 내용으로, 한국의 이 [...]
◆15일(월) 보건복지부, 노숙자 중 한시적 생활보호대상자를 선정, 7만9000원에서 32만원까지의 생계비 매달 지급 방침 ◆16일(화) 국군기무사령부, 기무사가 학원사찰을 계속하고 있다는 내용의 거짓 문건 [...]
생활고에 시달리던 노동자 한명이 또다시 분신했다. 10일 오전 6시 제주도 국제택시 소속 노동자 한광로(33) 씨는 제주도청 현관 앞에서 온몸에 석유를 뿌린 채 분신, 전신 3도 70%의 화상을 입고 중태 [...]
6백여만명에 달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실업대책의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다. IMF구제금융 이후 구조조정의 희생양이 되어 거리로 내몰린 이들은 정부의 실업자 구제책에서도 외면당해 생계파탄의 위협을 받고 있다 [...]
27, 28일 양일간 벌어진 민주노총의 시한부 파업이 끝났다. 이번 총파업에 대해 정부와 재계, 언론이 '국가를 말아먹는 행위'라며 강력히 비난하는 속에도, 28일 종묘공원에 나선 학생·시민·노동자 가운데는 [...]
국제앰네스티는 27일 성명을 통해 "노동자들은 경제위기 과정에서 심각하게 유린된 기본권을 지키기 위해 구 속의 두려움 없이 평화롭게 파업할 권리가 있다"며 한국정부가 노동자들의 비폭력행위에 대해 구속하지 말 [...]
민주노총은 '재벌해체와 IMF 재협상, 고용안정' 등 5대 요구안을 정부가 수용하지 않음에 따라, 27일 예정대로 시한부 총파업에 돌입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파업에 금속연맹 소속 9만여 조합원 등 1백32개 [...]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던 세계일보 사태가 노조측이 최후통첩인 단식농성을 시작함에 따라 긴박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세계일보 노조에서는 조대기 위원장을 비롯해 조민성(노조협상팀장, 편집국), 오천택(관리 [...]
정부가 노동자들의 파업과 시위에 대해 즉각 강경대응 방침으로 응수하면서도, 재벌의 부당노동행위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온적인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지난해 삼미특수강을 인수하면서 노동자들을 대량 해고한 포항제철 [...]
민주노총은 25일 기자회견을 갖고 27일 총파업 방침을 거듭 확인하며, 위기극복을 위한 대통령의 결단을 강력히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현재 재벌들은 '재벌무책임론'을 전파하기 시작했고, 정치권은 정쟁과 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