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이 투기상품이 된 현실을 넘어서
유엔은 1985년 10월 첫째 주 월요일을 ‘세계 주거의 날’로 정했다. 1948년 세계인권선언이 채택되던 해에 건국된 대한민국에서 주거권은 봉인된 권리였다. 전쟁의 혼란에 이어 개발독재시대를 경과하면서 집 [...]
유엔은 1985년 10월 첫째 주 월요일을 ‘세계 주거의 날’로 정했다. 1948년 세계인권선언이 채택되던 해에 건국된 대한민국에서 주거권은 봉인된 권리였다. 전쟁의 혼란에 이어 개발독재시대를 경과하면서 집 [...]
결국 실패했다. 도덕교과연구회 소속 교사로부터 인권교육을 의뢰받아 찾아간 자리. 인근 지역 도덕교사 서른 명 정도가 모인단다. 고민과 실천이 이어지지는 못했지만, 한때 동료들과 도덕교육 폐지까지 주장하기도 [...]
초등학교 6학년인 미림이는 밥을 먹다가도, 길을 가다가도, 잠자리에 들기 전에도 버릇처럼 한 숨을 쉬는 날이 많아졌다. 초・중・고 학생들의 학력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본다며 전국의 초등 3, 초등 6, 중등 [...]
“무한경쟁시대, ‘논술의 신!’ 끝까지 책임집니다.”라는 논술학원 전단지는 무사통과. 하지만 “학생인권, 두발자유 토론회”를 알리는 전단지는 가슴에 묻어 꼭꼭 숨기지 않고선 통과할 수 없는 곳이 학교다. 2 [...]
우리 사회에서 학력이 우수하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일까?국민학교 때 매달 시험을 봐서 평균이 90점이 넘는 학생들에게 학력우수상을 주었다. 그 때 학력우수상을 타서 부모님께 칭찬받고 싶었던 발칙한 몇 명이 작 [...]
이번호부터 자유발언대 꼭지를 신설합니다. 인권관련한 사안에 대한 주장에서부터 자신이 당한 인권침해 사실까지 어떤 내용도 좋습니다. 또 형식도 산문, 시, 수필 등 자유로운 형식으로 받습니다. 다만 인권에 반 [...]
자유발언 신청 받습니다.이번호부터 자유발언대 꼭지를 신설합니다. 인권관련한 사안에 대한 주장에서부터 자신이 당한 인권침해 사실까지 어떤 내용도 좋습니다. 또 형식도 산문, 시, 수필 등 자유로운 형식으로 받 [...]
높다란 고층 빌딩들이 빼곡히 자리하고 있는 송도 신도시. 2008년 인천경제자유구역의 1단계 완공을 앞두고 송도 신도시는 지금 개발이 끊임없이 진행 중이다. 이와 관련, 인천경제자유구역이 ‘우리 민족의 50 [...]
1. 모든 사람은 국적을 가질 권리를 가진다. 2. 어느 누구도 자의적으로 자신의 국적을 박탈당하거나 그의 국적을 바꿀 권리를 부인당하지 아니한다.무국적이라는 것 “나의 조국은 세계이다”, “세상을 무국적자 [...]
새로운 사람과 만나기 전엔 늘 기대감, 설렘, 두려움 등의 감정으로 마음이 들썩거린다. 인권 교육이라는 매개를 통해 사람을 만날 때에도 이러한 심리상태는 마찬가지다. 특히나 불특정 다수와의 대면을 앞둔 상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