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오름 > 벼리

[벼리] 정서 피해 드러내고 함께 치유하자

- 공감의 연대를 만들기 위한 제안


1월 20일 새벽 경찰의 과잉진압으로 철거민과 경찰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보도를 듣고 나서 현장을 찾아갔을 때, 온통 경찰로 둘러싸여 사건 현장에는 들어갈 수조차 없었다. 소식을 듣고 온 사람들은 너나할 것 없이 가슴 아프게 불타버린 건물을 하염없이 바라보면서 분통과 분노로 경찰을 노려보고 있었다. 사건 현장에 대한 경찰의 통제, 가족의 동의 없이 이루어지는 부검, 그들의 죽음에 법과 질서를 읊어대는 국무총리를 보고 있으니 죽어간 사람들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조차 없는 비정함과 천박함이 남겨진 사람들에게 큰 상처로 남겨질 것 같았다. 정의와 연민이 사라진 자리, 사람들은 무엇에 기대며 서로를 다독이고 저항해야 할까?

정서적 피해 최근에야 관심 기울여

경찰폭력으로 인한 피해 못지않게 한국 현대사를 조금만 거슬러 올라가면 민간인 학살, 조작간첩 등 국가폭력으로 인한 피해가 우리의 마음을 얼마나 잔인하게 짓밟았는지 발견할 수 있다. 불법 연행, 불법 감금, 거짓 자백을 받으려는 잔인한 고문, 감옥살이 등 국가공권력에 의한 인권 피해는 그동안 인권운동의 노력으로 가시화되었고, 사법부를 통해 몇몇 사건은 진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그렇지만 개인이 겪어야 했던 정서적인 피해 영역은 최근에 들어서야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민가협 조미영 활동가는 “2008년 7월부터 고문 피해 생존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집단상담을 통한 치유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사실 그동안은 석방운동, 진실규명이나 정권과의 싸움 등이 1차 목표였고 사람 하나하나를 볼 수 있는 여력이 없었다. 최근 고문 피해 생존자들이 일상에서 겪고 있는 불안감, 고립감 등을 호소하면서 이러한 이슈를 개인의 문제로 덮어둘 것이 아니라 함께 풀어갈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고문 피해 생존자들은 출소 후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기도 힘들었고, 빨갱이라는 낙인 속에서 생계를 이어갈 수도 없었으며, 가족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잡고 관계를 형성하기도 어려웠다. 진실이 밝혀져 국가로부터 손해배상을 받아도 해결되지 못한 이슈가 고문 피해 생존자 개인 개인의 삶에 피할 수 없는 과제로 다가온 것이다.

'내면의 촛불 빛나기' 프로그램의 한 장면

▲ '내면의 촛불 빛나기' 프로그램의 한 장면



정서적 피해, 부당한 국가공권력에 뿌리를 두고 발생

이럴 즘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 씨와 고문 피해 생존자 강용주 씨 등이 주축이 되어 집단 치유프로그램을 기획했다. 조미영 활동가는 “치유프로그램을 통해 가족과 자신에게 생긴 상처가 자신이 아닌 국가폭력으로부터 발생한 것임을 재발견한 것이 성과”이며 “함께 서로의 고통에 공감한 것이 치유의 커다란 힘”이라고 강조한다. 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고문 피해 생존자들은 고통의 뿌리들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힘이 생겼다. 고문 피해 생존자들은 개인이 겪는 정서적인 고통이라는 결과가 부당한 국가공권력의 원인됨이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70~80년대 국가폭력 생존자들이 겪고 있는 경험의 공감은 최근 촛불을 들었다는 이유로 경찰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까지 확장할 수 있다. 2008년 촛불의 저항을 폭력으로 눌러온 공권력을 경험하면서 ‘꿈속에서 경찰에 연행되거나 빨간 싸이렌 소리를 들으면서 꿈에서 깨어나는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도 다수 있다. 한 네티즌은 ‘과거에는 공권력이라는 것에 믿음이 있었는데, 공권력으로 인한 피해를 경험하면서 믿음이 깨지는 혼란을 겪었다’고 토로했다. 조미영 간사는 “국가가 국민을 보호해야 한다는 믿음이 있었는데 오히려 국가로부터 배신을 당한 느낌일 것이다. 이러한 경우 우연한 사고나 자연재해보다 개인의 정서에 치명적이다”고 지적한다.

촛불지킴이들과 함께 한 치유의 시간들

촛불집회에 참석했던 사람들은 권력자들과 소통을 원했지만, 돌아온 것은 무자비한 폭력뿐이었다 이런 상황을 겪으면서 마음은 황폐해지고 시간이 흐를수록 촛불집회에 참석하는 사람들은 줄어갔다. 또한 패배감, 혼란스러움, 무력감 등은 온라인/ 오프라인 공동체에서 서로를 공격하는 방식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2008년 10월 10일 인권단체연석회의가 개최한 ‘내면의 촛불 빛나기’는 그런 의미에서 촛불집회에 참석한 개인들이 겪고 있는 정서적 피해를 드러내고 나누면서 서로를 자력화 하는 계기로 삼으려 했다. 무력감, 악몽으로부터 시달림, 두려움, 패배감 등 공권력의 폭력 속에서 겪었던 정서적 피해를 드러내고 서로의 힘으로 치유를 시도했던 과정이다. 한 참가자는 “당연한 일을 했는데, 뭔가 억압당하고 있을 때 너무 힘들었다. 치유프로그램을 하고 나서 나 혼자만 힘든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함께 겪었던 일이라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참가자는 “그동안 마음 한 구석에 ‘난 싸우기 싫어’라고 말하는 자신이 있었고, ‘옳은 일을 위해 싸우자’는 또 다른 자신이 부딪치고 있었는데 격렬한 몸동작 이후에 불을 끄고 파도 소리를 들으면서 처음 촛불을 들었을 때의 나로 돌아가니 행복함이 밀려왔다”고 소감을 전했다.

공감의 연대를 만들기 위해

보수 정권이 들어서고 난 이후 고문 피해 생존자들은 다시금 그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이 되살아날 것 같은 혼란에 사로잡힌다고 한다. 불안감, 고립감, 두려움 등 정서적 고통은 고문 피해생존자들뿐만 아니라, 회사에서 나가라는 소릴 들어야 하는 노동자, 재개발로 언제 쫓겨날지 모르는 위험에 있는 세입자, 자신의 삶을 지키기 위해 저항한 사람에게 가해지는 보복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사회 구성원 누구든 겪고 있다. 이러한 정서적 피해를 그대로 방치한다면 혹은 개인의 몫으로 남겨둔다면, 그 사회는 상상하기 힘든 비용을 감수할 수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정서적인 피해를 구조적으로 만들어내는 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더불어 사회 변화에 가속도를 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을 하고 싶다.

첫째, 부당한 권력(국가, 기업 등)으로 인한 피해 중 ‘정서적인 피해’를 드러내자. 신체 부상이나 연행처럼 마음의 영역도 몸과 똑같이 아픔을 겪고 있다는 것을 항상 기억하자. 인간은 몸과 정신, 마음으로 만들어진 존재이며 몸이 아플 때 쉬거나 치료를 받는 것처럼 마음과 정신이 아픈 것을 아픔으로 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역량을 만들자. 정신과 치료를 받는다고 손가락질 할 것이 아니다.

'내면의 촛불 빛나기' 프로그램의 한 장면

▲ '내면의 촛불 빛나기' 프로그램의 한 장면



둘째, 정서적 피해를 개인의 문제로 두지 않고 함께 치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자. 정서적인 피해를 겪고 사람은 흔히 고립감에 시달리곤 한다. 그럴 때 곁에 있는 사람과 고민을 함께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거울 같은 존재가 항상 내 곁에서 나를 비춰주고 있다고 상상해보라. 삶의 질이 달라진다. 또한 전문적인 지원이 필요한 경우 사회이슈에 관심 있는 정신과 의사, 상담가, 영성수련가, 인권 피해 생존자, 사회운동가 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갖고 있는 자원을 함께 나누고 지원하자.

셋째, 개인 및 공동체가 일상에서 ‘마음공부’를 통해 ‘자신과 세상을 직시’하면서 나와 세상을 변화할 수 있는 힘을 키우자. 우리가 사회와 소통하려 하려는 이유는 세상과 나를 변화시키려는 의지 때문이다. 그 의지를 일상에서 정화 작업을 통해 만들어낼 수 있다. 세상의 질서가 만들어낸 편견과 그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폭력에 맞서는 것은 결국 저항의 힘이고 그 저항의 힘은 개개인의 자력화로 가능하다. 자력화란 결국 인간으로 존엄감과 자신감을 키워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종환 시인의 시를 소개하면서 글을 마무리 한다.

저녁기도

도종환

우리가 한 쪽 팔을 잃고 고통에 소리칠 때
우리의 마음 절망으로 꺾이지 않게 하소서
우리가 사랑을 잃고 가슴을 찢겨 울 때
우리의 가슴 나약함으로 덮이지 않게 하소서
우리가 두려움과 떨림으로 입술을 깨물 때
자유와 정의를 향한 뜨거움 식어가지 않게 하소서
우리가 가난과 굶주림에 쓰라려 넘어질 때
평등과 평화를 이루려는 믿음 작아지지 않게 하소서
우리의 또 다른 한 팔로 상처를 감싸며
두 무릎이 남아 있음을 알게 하소서
우리가 외로움 속에서 다시 기다릴 수 있는 것도
오직 사랑하는 마음뿐임을 알게 하소서
우리가 동터오는 새벽의 굳셈을 믿는 것도
어둠이 결코 오래 가지 않는 때문임을 알게 하소서
우리가 시린 바람 속에서 손에 손 맞잡는 것이
이 세상을 사랑으로 비추는 길임을 알게 하소서….
덧붙임

* 최은아 님은 인권운동사랑방 활동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