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대우차 부도책임, 노동자와 무관

이종대 회장 "노조동의한다고 얼마나 갔겠는가"


인원 3천5백명의 감축과 임금 30%의 삭감에 대해 노조가 동의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최종부도 처리된 대우자동차의 수많은 노동자들이 생존의 벼랑 끝으로 몰렸다. 지난 8월부터 4개월 째 임금이 체불돼 마이너스 통장 등으로 생계를 이어온 노동자들은 앞으로 살아갈 일이 막막하다는 분위기다. 특히 정부와 채권단이 '노조가 구조조정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아 부도처리 했다'며 노조에게 일방적으로 책임을 돌리는 데에는 분노를 넘어 어이가 없는 표정이다.

더욱이 "정부와 채권단이 노조동의서가 있으면 지원이야 했겠지만, 그렇게 한다고 얼마나 갔겠느냐?"는 이종대 대우자동차 회장의 발언이 10일 사실로 확인되자, 노동자들은 억장이 무너져 내리고 말았다. 정부와 채권단이 의도적으로 부도의 책임을 노조에 떠넘긴 것을 경영진조차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위원장 문성현)의 조건준 정책2국장은 "정부와 채권단이 노조를 우롱했다"고 분개했다. 조 국장은 "4개월 째 상여금이나 임금을 못 받은 조합원들은 우유값이라도 벌어야 한다며 조를 짜서 아파트 공사장이나 월드컵경기장 건설현장에 나가는 경우도 있다"고 밝혔다. 특히 앞으로 5년 동안 고용을 보장하겠다는 단체협상이 타결된 지 채 세 달도 안 돼 3천5백 명 인력감축에 동의할 것을 요구한 것이어서 조합원들의 분노는 더욱 크다.

한편 민주노총, 민교협 등 31개 시민․사회단체는 10일 오전 안국동 느티나무 까페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우자동차 부실경영 책임자 처벌 및 경영정상화를 통한 생존권 보장을 요구했다. 이들은 "올바른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해 정부와 채권단, 대우노사가 함께 대책을 찾는 것이 올바른 순서"라며, 경영부실의 책임을 노동자에게만 전가하지 말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