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임활동가의 편지] 사람사랑 100호를 맞으며
사람들에게는 단위별로 뭔가를 기념해야 한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 10년, 50년, 100년 같은 단위도 그렇다. 그게 우리나라만은 아닌 것 같고, 인류 보편의 인식인 것처럼 보인다. 사랑방의 소식지 사 [...]
사람들에게는 단위별로 뭔가를 기념해야 한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 10년, 50년, 100년 같은 단위도 그렇다. 그게 우리나라만은 아닌 것 같고, 인류 보편의 인식인 것처럼 보인다. 사랑방의 소식지 사 [...]
1. 인권운동사랑방 1년 중점사업 논의 상임활동가들은 2월 26일 논의를 거쳐, △사회보호법 폐지 운동과 △사회권 운동의 실천적 전형 만들기를 인권운동사랑방 2003년 중점 사업으로 정했습니다. 사회보호법 [...]
1. '인권교육'을 위해 모였다.
<tr>
#1. 에필로그 이미 잊혀진 전쟁이 되어버린 한국전쟁 동안 100만명의 민간인이 전선이 아닌 후방에서 학살을 당해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서슬퍼런 냉전반공체제 하에서 살아남은 자들은 빨갱이의 후손이라는 딱지 [...]
◎ 김동원(푸른영상 대표) "좁은 범위의 인권운동만 하기에는 바깥에서 사랑방에 거는 기대가 큰 것 같습니다. 특히 인권운동의 지평을 넓히려는 노력 가운데 하나인 인권영화제는 인권교육에도 매우 효과적인 장인 [...]
1. 인권운동사랑방 10돌 기념행사 준비 분주 인권운동사랑방이 올 3월이면 창립 열 돌을 맞게 됩니다. 인권운동사랑방을 아껴주시는 분들과 함께 3월 4일 프란치스꼬 교육회관에서 열 돌 잔치를 갖기 위해, [...]
1. 인권교육연구모임 기초 세미나 시작 인권교육실 자원활동가들의 대거 물갈이(?)로 새롭게 시작하시는 분들을 위해 기초 세미나를 시작했습니다. 우선 첫 번째 시간에는 ‘아동권리협약’의 각 조항에 대한 해석 [...]
1. 2003년 힘찬 출발 1월 2일 시무식을 시작으로 사랑방은 2003년을 힘차게 출발했습니다. 올해도 진보적 인권운동을 위해 성큼 매진하는 한 해가 되길 희망해 봅니다. 2. 안식월 제도 전격 도입 [...]
1. 청년인권워크샵 성황리에 마쳐 지난 10일부터 11일, 1박 2일동안 청년인권워크샵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고등학생, 군인, 대학생, 회사원 등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인권의 개념, 역사, 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