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교육, 날다] 우리는 또 들어가는 것이다
글을 쓰려고 [인권교육, 날다] 꼭지에 실린 글들 몇을 읽어보았다. 2월 15일 한낱 님이 쓴 〈인권교육의 등굣길은 왜 이리 험난할까〉가 눈에 띄었다. 중학교 인권교육을 가서 겪은 어려움이 절절한 글에 고개 [...]
글을 쓰려고 [인권교육, 날다] 꼭지에 실린 글들 몇을 읽어보았다. 2월 15일 한낱 님이 쓴 〈인권교육의 등굣길은 왜 이리 험난할까〉가 눈에 띄었다. 중학교 인권교육을 가서 겪은 어려움이 절절한 글에 고개 [...]
<성 명> 시민들의 힘으로 만든 서울 학생인권조례 주민발의를 환영한다! 서울 학생인권조례 발의에 함께 하는 서명자는 약 8만 5천여 명으로 주민발의에 성공하였다. (5.12. 서울본부 집계) 학생 [...]
3월 5~6일 상임돋움 모꼬지 다녀왔어요.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하 카이스트)에서 올해만 학생 4명이 잇달아 자살(4.7), 알고 보니 서남표 총장의 무리한 경쟁식 학교운영이 학생들을 죽음으로 몰았던 것. 카이스트 학생들은 원칙적으로 수업 [...]
경기도에서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되었다. 만세!! 라기 보다는, 새천년을 맞이했다거나 새해가 밝았다는, 몸으로는 느껴지지 않지만 뭔가가 바뀌었다는 느낌처럼 멍하게 경기도 학생인권조례는 만들어졌다. 서울에서도, [...]
청소년 집회 준비 과정은 좀 이상하다. 다른 집회들을 준비하는 과정과 비교해보면 그 우선순위가 전혀 다르다. 청소년 집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돈을 들이고 공을 들이는 부분은 바로 홍보이다. 충분한 [...]
참 애매하다. 30분~1시간 남짓 되는 강연도 인권교육이라 불러야 할까. 인권교육센터 ‘들’에는 한 달에 20~30건 정도 교육 요청이 들어온다. 100명 넘는 사람들을 모아 놓고 1시간 남짓 교육해달라고 [...]
아직 일주일도 지나지 않았구나. 지난 주 수요일, 서울의 S중학교에서 교육을 마친 나의 마음 상태는 당황, 우울, 분노, 슬픔……. 대략 이런 부정적 감정들로 꽉 들어차 있었다. 하루가 지나도 모욕감은 가라 [...]
√ 홍익대 청소노동자들의 투쟁에 ‘외부세력’들의 연대는 계속된다. 트위터 모금으로 총장‘님’이 본다는 조선일보에 ‘홍대 총장님, 같이 밥 한끼 먹읍시다’란 제목으로 청소노동자들의 편지 광고가 실리고(1.21 [...]
√ 삼성전자 LCD사업부 천안공장의 한 노동자, 업무 스트레스로 회사 기숙사에서 투신자살(1.12). 입사 후 하루 14-15시간 과도한 업무에, 약품처리 작업 때문에 피부병까지 생겨. 삼성은, 과도한 업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