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현의 인권이야기] 은미와 희주가 ‘노숙’을 물려받지 않기를
백일 때였을까, 돌 때였을까? 흙벽집의 먼지 뽀얀 마루에 앉아 머리통만한 배를 꼭 쥐고 찍은 것이 내 유일한 유아기적 사진이다. 나름대로 신경 쓴 사진이라고 생각하지만, 남의 집에서 앨범을 구경할 때 구색을 [...]
백일 때였을까, 돌 때였을까? 흙벽집의 먼지 뽀얀 마루에 앉아 머리통만한 배를 꼭 쥐고 찍은 것이 내 유일한 유아기적 사진이다. 나름대로 신경 쓴 사진이라고 생각하지만, 남의 집에서 앨범을 구경할 때 구색을 [...]
보/도/자/료 수 신 : 귀 언론사 사회부 발 신 : 인권단체연석회의(전국 37개 인권단체) 반전평화팀 제 목 : 평화적 생존권 짓밟는 전쟁연습 반대한다 문 의 : 인권단체연석회의 반전평화팀 김정아(010 [...]
<편집인주> [세계의 인권보고서]는 유엔이나 해외 인권단체에서 발표한 보고서 중 국내에 소개할만한 것을 선정하여 요약 번역한다. 오늘은 그 첫번째로, 식량우선연구소(Food First - Inst [...]
다시 한반도 전역에 전쟁훈련으로 인한 공포와 불안이 번지고 있다. ‘북한군 격멸’과 ‘북한정권 제거’가 목적인 한미연합전시증원훈련(RSOI)이 지난 25일부터 한반도 이남 전역에서 실시되고 있다. 벨 주한미 [...]
경제·사회적 권리는 국내법보다 국제인권법에서 더 강력하게 주창돼왔다. 하지만 이들 권리의 구체적인 이행이 이뤄져야 할 곳은 국내이고 국내법으로 보장돼야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다. 이 논문은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
법과의 첫 대면 법대를 지망한 것은 법에 대한 환상과 주변 사람들의 권유 탓이었다. 그래서 그런지 법이나 재판과의 첫 만남은 결코 유쾌한 것은 아니었다. 대학 2학년 때 처음으로 법을 배웠다. 한번 [...]
건강은 의료만의 문제가 아니다 사회적으로 ‘건강불평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불평등’은 빈곤한 사람이 건강을 더 많이 해칠 수 있다는 빈곤의 문제만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다. 교육을 받은 [...]
얼마 전 의료급여 수급권자인 노숙 당사자 20명과 함께 인권교육을 진행했다. 노숙인들 스스로 건강권을 인식하고 본인 스스로의 권한을 강화하고자 하는 힘을 북돋우고자 준비한 자리였다. 건강을 ‘타고난 복’으로 [...]
<편집인주>1990년대 청소년인권에 대한 문제제기는 2000년대 조직화된 청소년인권운동으로 자리를 잡았다. 전국중고등학생연합과 같이 ‘인권’을 화두로 한 전국조직의 청소년인권단체가 생겨난 이후 청 [...]
평택 이주협상이 타결된 지난달 말 인권활동가들과 함께 대추리로 향했다. 특별한 계획이 있었던 건 아니다. “고생, 수고, 감사…무슨 말로도 충분하지 않을 거예요. 여러분들은 어떤 혁명가, 운동가보다도 우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