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오름 > 내 말 좀 들어봐

[내 말 좀 들어봐] 틈 없는 교과서가 만드는 틈 없는 시야

교과서 속 반인권적인 부분 찾기

[빨강물고기]**에서 ‘교과서 속 반인권적인 부분 찾기’를 하면서 가장 놀라웠던 건, 생각보다 태클 걸 부분이 무지막지하게 많았다는 점이다(참고로 내가 봤던 건 중학교 도덕 교과서였다). 단순히 많은 차원을 넘어서서 한 페이지를 통째로 찢어내야 할 부분도 있다는 게 참, 그동안은 교과서가 이따위로 막장인 걸 왜 몰랐을까 싶었다. 모르는 것도 무리가 아니긴 했다. 이전까지는 이런 식으로 까기 위해 교과서를 살펴본 적도 교과서 내용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도 없었다. 그럴 필요가 없었다. 교과서는 읽고 생각하라고 있는 책이 아니라 보고 외우라고 있는 책이었으니까. 그리고 난 그 원칙에 충실해서 시험 때면 꼬박꼬박 ‘달달 암기’를 행하고 그 대가를 받았었다.


일회용품 교과서

뭐, 열심히 외웠다고는 해도 교과서 내용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며 공부할 정도로 순진했던(바보였던) 건 아니다. 다음 날 문제 풀 때 헤매지 않을 정도로만 내용을 뇌 한 편에 쟁여둘 뿐, 뭐라 그러건 마음에 담지는 않았다는 소리다. 다들 그랬을 거다. 어차피 시험용 공부는 시험 끝나면 버리는 일회용품이고, 교과서는 지혜의 샘 따위가 아니라 꼰대들의 지루하고 재수 없는 연설모음집+짜증날 정도로 빽빽한 ‘암기의 서’일뿐이다. 교과서가 아이들에게 영향씩이나 주기에는 권위가 없어도 너무 없다.

하지만 그렇게 한 번 외우고 버릴지라도 반복해서 접한다. 국민이 어쩌고 세계화 시대가 어쩌고 매일 보는 교과서에 매년 등장하는 식상한 문구들은 어느 샌가 머릿속에 자연스레 저장된다. 이런 문구들은 특히 논술시간이나 수행평가 글짓기 시간에 빛을 발한다. 쓸 게 없어서 고민하고 있다 보면 창의성 없는 뇌가 자동적으로 어디서 많이 들었던 단어와 주장들을 기계적으로 주워섬기고 있다. 출처는 사회, 도덕, 기술가정 등등 해마다 네 번씩 외우고 까먹기를 반복했던 교과서들이다. 캐무시 받던 교과서는 어느 순간부턴가 아이들의 사고를 지배하며 ‘보이지 않는 꿍꿍이’를 실현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들

▲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들



이. 따. 구로 생겨 먹었어도 되는 거니?

내가 교과서에 대해 가장 무섭게 생각하는 점은 이것이 세상의 다른 면을 볼 수 없게 만들 만들뿐더러, ‘다른 면’이 존재한다고 의심조차 할 수 없도록 ‘잘(자주) 보이는 것’만으로 시야를 꽉 채워둔다는 점이다. 청소년기 이성교제의 바른 모습 따위를 늘어놓으며 당연시 하는 남성과 여성의 사랑, 애국애족의 정신을 쉴 새 없이 찬양하며 떨구어 두는 ‘붉은악마 신드롬’의 밑밥, 부채질 하느라 한가로운 어르신과 음식 하느라 정신없는 여인네들의 대조적인 그러나 훈훈한 색채로 그려진 풍경삽화. 이성애, 애국애족, 국가에 대한 국민의 의무, 친척과 이웃(어른들)에게 지켜야 할 예절 등등은 다수의 사람들에게는 문제의 소지가 없다고 받아들여지는 당연한 가치들이다. 교과서는 이성애 중심주의가 동성애자들에게 가혹한 사회를 만들고, 국가주의가 촛불집회 탄압과 같은 국가권력의 횡포를 정당화하고, 가부장제에 무비판적인 삽화가 여성을 가사노동의 굴레 속에 한없이 가둬두고 나이주의를 끝없이 대물림하고 있다는 둥의 문제점은 결코 말하지 않는다. 그것은 철저히 ‘주류적인 것’으로만 이루어져있고, 힘 있는 자들이 만드는 교과서는 재벌들이 만드는 경제 교과서(전경련 제작 중학교 경제 교과서)의 경우처럼 자신들에게 유리한 가치를 주류의 것으로 만든다.


교과서 속에 숨어 있는 반/비인권적인 내용들

▲ 교과서 속에 숨어 있는 반/비인권적인 내용들



교과서가 가린 세상의 틈

학교 담장에 둘러싸인 일상부터 교과서까지 청소년들에겐 세상의 가려진 면, 그 곳에 있는 고통을 들여다 볼 시야의 ‘틈’이 없다. 일 년에 네 번씩 교과서를 외우고 까먹고를 반복하다보면, 안 그래도 흔히들 하는 “남자 친구/여자 친구 있어?”라는 물음과 “어른 말씀을 잘 들어야지.” 같은 훈계가 너무나도 당연해진다(심지어 교과서까지 이것들을 외치는데, 잘못됐을 리가 없잖아?). 이런 물음과 훈계에 태클을 거는 목소리를 들을 ‘틈’이 없다. 틈 없는 세상의 청소년들은 놀랄 정도로 꽉 꽉 막혀있다. 반 친구들과 동성애에 대한 얘기를 하다가, 많은 아이들이 동성 간의 사랑에 대해 ‘역겹다’는 말을 서슴지 않을 정도로 극심한 혐오감을 보이는 것을 보고 놀랐던 적이 있다. 이런 반 아이들에게는 한번쯤 동성애 역시 그저 사람 대 사람의 사랑일 뿐임을 생각해보게 하는 ‘틈’이 없었다.

교과서가 하는 말을 일일이 귀 기울여 듣는 청소년이 썩 많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교과서는 청소년들이 교과서 밖 ‘가려진 세상’의 말, 틈 사이로 들려오는 교과서 속의 가치에 저항하는 목소리들에 귀 기울이지 않게 만든다. 교과서를 비웃고 있는 동안에도 ‘잘 보이는 세상‘, 교과서 속의 세상이야말로 있는 그대로의 세상이라 철썩 같이 믿게 만든다. 그 세상에선 여자는 남자와 연애하는 것이 당연하고 명절 때면 엄마가 과도한 가사노동에 시달리는 것이 당연하다. 이 당연하지 않은 당연함. 바로, 교과서가 실현하는 ‘보이지 않는 꿍꿍이’ 다. 또한 이것이 바로 우스운 교과서가 무서운 이유다.

[끄덕끄덕 맞장구]

교과서 한 장, 한 장마다 어김없이 등장하는 반/비인권적인 내용에 혀를 내두르며 ‘이런…쯧쯧’ 살짝 할 말을 잃었었지요. 뚫어져라 샅샅이 뒤지지 않아도 말입니다. 엠건 님의 말처럼 한 장을 통째로 뜯어내야 할 부분도 있습니다. 도대체 무엇을 ‘교육’할 수 있는 것인지 아무리 생각해봐도 알 수 없는, 혹은 문제가 너무나 많은 그런 내용들 말입니다. 연신 ‘이건 아니잖아~ 이건 아니잖아~’를 외치게 만드는 우리들의 교과서들입니다.

교과서는 사회 주류의 생각과 문화만이 정답인양 보여주고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다른 생각과 주장, 문화는 ‘틀린 것’이 됩니다. 그렇게 외우고, 시험을 보면서 ‘오답’과 ‘정답’으로 나누어 판단하기 때문에 경제, 생활양식, 문화 모두 주류가 아니면 비집고 들어올 틈이 없습니다. 시험에서 그저 정답을 맞히기 위해 노력했던 것뿐인데, 어느새 우리의 말과 눈과 행동은 ‘다른 것’을 참지 못하고 있지요. 어느새 말입니다.

이런 교과서가 있어야만 할까요? 적어도 유사한 내용을 가르칠 수 있는 교과서는 있어야 한다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합니다. 하지만 공통의 기초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해서 현재 교과서의 틀(아직까지 국정교과서가 있지요)과 내용을 유지할 필요는 없겠지요. 국정교과서, 출판사만 다른 똑같은 내용의 교과서들 말입니다. 그런 점에 한쪽에서 일고 있는 대안교과서와 교과서 비판은 쫌 반갑기도 합니다. 지배 이데올로기의 유포와 주입이라는 비판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각을 보여줄 수 있는 교과서는 만들어질 수 없을까요? 우리들의 자유로운 생각을 방해하지 않는 교과서 말입니다.

그런 교과서의 목차에는 조선 시대 어떤 왕이 주인공이 아닌, 보통 사람들의 역사도 있겠지요. 또 이런 것은 어떨까요? 알바하고 임금을 떼이지 않는 방법과 혹시라도 돈을 떼였을 때 받아 낼 수 있는 법, 친구랑 싸웠을 때 ‘교과서대로 어색하게 화해하는 법’ 말고 마음 끓이지 않고 화내고도 잘 지내는 관계 맺기, 가출하면서 준비해야하는 것들 예를 들면 혼자라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 만들기 같은 것들이 목차가 되는 교과서 말이지요. [고은채]


덧붙임

* 엠건 님은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에서 활동 중인 청소년입니다. 고은채 님은 인권교육센터 '들' 활동가입니다.
** 청소년인권활동가네트워크에서 진행한 청소년을 위한 인권놀이터 [빨강물고기]는 5월 반차별, 6월 생활 속 인권, 7월 청소년 독립, 8월 교과서 훑기를 주제로 인권을 만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