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이달의 인권 (2003년 6월)

흐름과 쟁점


1. 네이스, 불사조 되어 날아오르다

교육부는 고3에 한해서만 네이스 사용을 한시 허용한다는 전교조와의 공식 합의를 뒤집고 개별 학교에서 네이스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6/1). 이에 전교조는 교사대회를 열고 네이스 폐기를 촉구했고(6/2), 전교조 소속 정보교사들도 네이스 관련 업무를 전면 거부하기로 했다(6/4). 이후 네이스 반대 투쟁은 교육계를 넘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어 갔다. 81년 이후 초중고 졸업생 44명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고(6/11), 인권활동가들은 네이스 강행 저지 단식농성에 들어갔다(6/18). 이런 상황에서 교육부는 일선 학교 대부분이 네이스를 '선택'했다고 발표했지만, 전교조는 학교장들이 네이스 선택을 '강요'한 것이라고 맞섰다(6/19). 이후 전교조가 네이스 폐기 촉구 연가집회를 열자(6/21), 교육부는 참가 교사들에 대한 교육청별 징계와 전교조 지도부에 대한 사법처리 방침을 거듭 밝혔다(6/23). 장애인계 활동가 30명은 "장애인에게 네이스는 사회적 사형선고"라며 네이스 반대 선언을 내놓았고(6/24), 인권사회단체들은 국무총리실 주도로 일방 추진되고 있는 교육정보화위원회의 전면 재구성을 촉구했다(6/25). 이어 인권사회단체들은 네이스 반대와 정보인권 수호를 위한 공동대책위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인권활동가들은 일단 단식을 접고 공대위를 통해 지속적 투쟁을 벌여나가기로 했다(6/27).


2. 보호감호제 폐해 속속 드러나

'사회보호법폐지를위한공대위'는 기자회견을 열고 사회보호법의 폐해를 고발했다. 이 자리에서 청송보호감호소 출소자들은 "사회보호법은 사회정착을 막는 걸림돌일 뿐"이라고 증언했다(6/3). 이후 공대위는 청송제2감호소 피감호자 616명 명의로 헌법소원을 제기하고, 실태조사 결과도 함께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93.79%가 소내 훈련과 작업이 사회정착에 도움이 안된다고 답했고, 감호기간 중 가족파괴를 경험한 사람도 응답자의 절반에 이르렀다(6/17).


3. 에바다 정상화, 한 걸음 더 앞으로!

경기도경이 에바다 농아원을 불법 점거하고 있던 최성창 전 이사장을 전격 연행하면서 에바다 정상화가 한발 더 앞당겨졌다(6/3). 그러나 구 재단측 졸업생들을 포함한 40여명이 에바다에 다시 난입해 집단폭력을 행사했다(6/7). 그럼에도 평택 검찰은 이들을 전원 불구속 처리했고(6/9), 이에 '에바다정상화를위한연대회의'는 평택 검·경의 미온적 수사태도를 규탄하며 이들에 대한 특별감찰을 요구했다(6/12). 한편 구 비리재단의 핵심 인사였던 양봉애 씨가 학교공금 횡령 혐의로 긴급 체포돼(6/25), 현재 불구속 수사를 받고 있다.


4. 경제자유구역이라는 '재앙'의 제도화

양대 노총은 여의도 국회 앞에서 집회를 갖고 경제자유구역법의 폐기를 촉구했다(6/4). 이 가운데 대전시가 경제특구 지정 신청을 철회하고, 앞으로 경제자유구역법에 근거한 경제자유구역 신청을 하지 않겠다고 밝힘으로써 경제자유구역 폐기 투쟁에 중대한 성과를 남기게 됐다(6/12). 이후 민주노총과 전국민중연대 등 노동사회단체들이 노숙농성까지 감행했지만(6/16∼17), 시행령이 결국 국무회의를 통과, 7월 1일부터 경제자유구역법은 시동을 걸었다(6/24).


5. 끝끝내 살아남은 산업연수생 제도

인권사회단체 활동가들이 외국인 산업연수제도 철폐와 고용허가제 쟁취 등을 촉구하며 단식농성에 들어갔다(6/9). 그러나 한나라당의 반대로 고용허가제 법안 처리는 결국 무산됐다(6/16). 이후 경제 5단체는 산업연수생 제도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고용허가제 도입을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