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유혹] 각자의 비정규사회 곁에
각자의 기억 내가 처음 ‘비정규직’에 대해 알게 된 계기는 한국통신계약직노동자들의 투쟁이었다. 추위가 가시지 않은 겨울의 막바지에 대학로를 향하는 길가에서 그들은 모든 구호를 “죽여 밟아 묻어”에 이어 욕 [...]
각자의 기억 내가 처음 ‘비정규직’에 대해 알게 된 계기는 한국통신계약직노동자들의 투쟁이었다. 추위가 가시지 않은 겨울의 막바지에 대학로를 향하는 길가에서 그들은 모든 구호를 “죽여 밟아 묻어”에 이어 욕 [...]
이 글을 쓰는 오늘(2015년 11월 25일)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앞에는 많은 여성단체와 활동가들이 모였다. ‘양성평등기본법 개정 이후 후퇴되는 성평등 정책에 대한 기자회견’을 위해서. 기자회견의 주요 내용 [...]
"자~ 출발." 중학교 친구들과 사진 찍는 시간은 참으로 유쾌합니다. 카메라를 들고 사진 담는 것을 진정으로 즐거워해 주거든요. 오늘은 제가 좀 욕심을 부려봅니다. "오늘 저기 노란 나무에 가보고 싶네요. [...]
지난 11월 5일, 국회 예결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민구 국방장관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정교과서 집필에 군이 참여하도록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군의 역사 기술 개입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자 한 장관은 며칠 [...]
[편집인 주]올해 4월, 교육부가 내놓은 ‘학교 성교육 표준안’이 성소수자에 대한 내용을 배제한 것이나 보수적인 성별 관념을 담고 있는 것이 지적되며 논란이 불거졌다. 그러나 교육부가 올해 내놓은 성교육 표 [...]
[편집인 주]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겠다는 약속은 참사 당일에 벌어진 일을 복기하는 데에 그쳐서는 안 된다. 4.16연대는 '존엄과 안전에 관한 4.16인권선언'을 추진하며 인권으로 4.16을 기억해보자고 제안 [...]
점입가경입니다. 아무래도 혼이 비정상인 듯합니다. 부정관권선거로 탈취한 권력으로 자신을 비판하는 정의로운 국민들을 테러집단이라고 매도하며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을 시행령 따위로 짓밟고 있습니다. 노동 [...]
세월호 참사 이후 다른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던 약속이 무안해지는 요즘입니다. 그러나 약속은 이어져야 합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다른 사회를 만들어가자며 제안되었던 4.16인권선언을 만드는 자리에 여러분들을 [...]
[편집인 주]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겠다는 약속은 참사 당일에 벌어진 일을 복기하는 데에 그쳐서는 안 된다. 4.16연대는 '존엄과 안전에 관한 4.16인권선언'을 추진하며 인권으로 4.16을 기억해보자고 제안 [...]
[편집인 주]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겠다는 약속은 참사 당일에 벌어진 일을 복기하는 데에 그쳐서는 안 된다. 4.16연대는 '존엄과 안전에 관한 4.16인권선언'을 추진하며 인권으로 4.16을 기억해보자고 제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