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석진의 인권이야기] 북한 인권, 진보와 보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얼마 전 <한겨레>에는 북한 인권 문제를 대하는 진보진영의 ‘불편한 진실’에 대한 오태규 논설위원의 칼럼이 실렸다. 그는 칼럼에서 “북한 인권 문제는 진보진영이 안고 있는 곤혹스런 주제 중 하나” [...]
얼마 전 <한겨레>에는 북한 인권 문제를 대하는 진보진영의 ‘불편한 진실’에 대한 오태규 논설위원의 칼럼이 실렸다. 그는 칼럼에서 “북한 인권 문제는 진보진영이 안고 있는 곤혹스런 주제 중 하나” [...]
3년만이에요. 다시 사랑방 활동을 시작 해보겠다는 얘기를 꺼냈습니다. 아주 조심스럽게 말이죠. 직장 여건이 허락하지 않아 활동을 쉬면서도, 돌려줘야 하는 빌린 물건을 쓰고 있는 것 마냥 불쑥 무거운 마음 [...]
1. 드뎌 집들이^^ 했어요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이사를 끝내고 조촐하게 집들이를 했어요. 김치전과 부추미나리전, 동태전 등 전 3종과 주먹밥, 냉채와 코다리찜, 우거지볶음과 묵밥... 정말 맛난 음 [...]
홍이 서울남부교도소로 이감되었어요~ 한국에서 아직도 수많은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가 그렇듯이 옥에서의 삶은 그다지 재밌지 않답니다. 그런 만큼 여러분의 사랑이 필요하지요. 돋움활동가 홍이가 그동안 인덕원 근 [...]
10년이 지났다. 한국에서 양심적 병역거부문제가 이슈화되고 병역거부운동이 진행된 지 10여년이 흘렀다. 병역거부자에 대한 무죄판결 기사가 신문 1면에 실리기도 했고, 노무현 정부 말기에는 그토록 염원했던 양 [...]
앞으로 넉 달 동안 [인권이야기]를 들려줄 새 필진을 소개합니다. 다음 주부터 순서대로, 용석 님(전쟁없는세상 회원, 출판노동자), 구석진 님(인권운동사랑방 활동가), 딸기 님(평화바람 활동가), 묘랑 [...]
왜 수치심인가? 자존감과 수치심의 관계 자존감에 대한 첫 번째 글에서 언급했듯이 이번에는 빈곤, 수치심 그리고 자존감의 관계를 얘기하려고 한다. 그런데 도대체 왜 수치심일까? 사전적 의미로 수치심은 부끄러움 [...]
<모래성>이라는 제목의 드라마였다. 20년도 더 된 이 드라마 속 아직까지도 잊혀지지 않는, 아니 웬일인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더 선명해지는 한 장면이 있다. 회사 중역인 자신의 남편이 젊은 여 [...]
청소년들과 만나면서 시작된 자존감의 고민 지역아동센터와 인연을 맺고 청소년들을 만난 지 3년 정도가 된다. 그동안 이들과 함께 인권교육을 하기도 하고 놀러 다니기 바빴지만 주로 했던 일은 서른 명의 청소년 [...]
정보공유와 알권리, 그게 바로 살 권리~! 김유승 님과의 인터뷰 이번 호에서는 정보공유와 알권리에 대해 꾸준히 활동 중인 후원인 김유승님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정보공개센터에서도 활동 중이신 김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