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리 1] ‘인간’의 권리는 ‘누구’의 권리였나
인권의 보편성? 그녀들은 어디에… “모든 인간은 인간으로서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세계인권선언의 전문을 관통하는 정신은 바로 인권의 보편성이다. 그러나 이는 공허한 선언에 불과하다는 것이 현실의 교훈이기 [...]
인권의 보편성? 그녀들은 어디에… “모든 인간은 인간으로서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세계인권선언의 전문을 관통하는 정신은 바로 인권의 보편성이다. 그러나 이는 공허한 선언에 불과하다는 것이 현실의 교훈이기 [...]
발신 : 인권단체연석회의 수신 : 언론사 사회부 제목 : [평택 미군기지 확장 전면 재협상을 위한 문정현 신부 단식농성] 지지 인권활동가 릴레이 단식농성(총 2매) 일시 : 2006년 6월 19일 문의 : [...]
인권단체 연석회의 거창평화인권예술제위원회/구속노동자후원회/광주인권운동센터/군경의문사진상규명과폭력근절을위한가족협의회/다산인권센터/대항지구화행동/동성애자인권연대/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족민주열사희생자추모(기 [...]
4월 15일 시작된 ‘노숙당사자모임과 함께하는 주거인권학교’는 6월 3일 마지막 프로그램인 <보고싶은 인권뉴스>로 막을 내렸다. 마지막 날 프로그램을 끝내고 진행한 평가간담회에는 주거인권학교를 준 [...]
옛말에 ‘삼 년 구병에 불효 난다’고 했다. 집안에 병든 사람이 생겨 오래 가게 되면, 정성을 다하는 간병이란 자식이라도 불가능하다는 말이다. 간병도 간병이지만 오랜 치료에 드는 돈도 만만치 않았을 테니 이 [...]
폭력과 정치적 억압이 남긴 유산 동티모르는 2002년 5월 20일 독립을 이룬 신생국이다. 우리나라는 17세기 포르투갈의 식민지로 예속된 이래 정치적 억압과 폭력의 긴 역사 속에서 고통받아 왔다. 식민지를 [...]
바쁠 때는 하루에도 몇 번씩 이용하는 지하철!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들이라면, 지하철과 역사 곳곳에서 ‘날 좀 봐 달라!’며 아우성치는 상업 광고의 몸부림을 결코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기에 오히려 광고 [...]
[편집자주] 외침은 한국사회의 인권현장, 바로 그곳에 있었고 지금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가공 없이 그대로 담는 기획이다. 지식인이나 활동가 등은 글쓰기 등을 통해 자기 얘기를 남기지만 인권현장에 [...]
# 1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노숙당사자모임’이 전국 규모의 단체로 확대되었다고 합니다. 이와 함께 명칭을 ‘전국노숙당사자모임’으로 바꾸고 대전, 대구, 부산 등 전국 광역시에 지부를 설치하게 되었습니 [...]
[편집인 주] 군대와 철조망에 가로막힌 평택 미군기지 반대운동의 운명은 어찌될 것인가. 본지에서는 이경주 교수(인하대 법대)로부터 우리보다 일찍 반(反)기지운동이 싹텄던 일본의 경험을 몇 차례 소개받음으로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