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인권영화를?
미군기지로 멍들어 있는 용산에서 인권영화제가 열렸습니다. 민주노동당 용산구위원회 당원모임인 진보정치연구회가 6월 17일부터 18일까지 이틀 동안 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인권영화제를 개최했던 것이죠. 지난 몇 [...]
미군기지로 멍들어 있는 용산에서 인권영화제가 열렸습니다. 민주노동당 용산구위원회 당원모임인 진보정치연구회가 6월 17일부터 18일까지 이틀 동안 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인권영화제를 개최했던 것이죠. 지난 몇 [...]
2003년 7월, 국가보안법과의 만남 2003년 여름, 나는 대학 마지막 여름방학을 알차게 보내기 위해 뜻이 맞는 후배 3명과 스터디를 기획했다. 시간, 능력, 의지 부족으로 항상 중도 포기를 경험했지만, [...]
함께 책읽기 일정 안녕하세요. 인권운동연구소의 류은숙입니다. 사회권 강좌에 참여하셨던 분들께는 후속으로 함께 책읽기 모임을 한다고 말씀드린바 있습니다. 애초에 6월 13일부터라고 했으나 이런저런 일로 바 [...]
[편집자주] 외침은 한국사회의 인권현장, 바로 그곳에 있었고 지금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가공 없이 그대로 담는 기획이다. 지식인이나 활동가 등은 글쓰기 등을 통해 자기 얘기를 남기지만 인권현장에 [...]
청소년인권운동의 맹아는 87년을 정점으로 타오른 민주항쟁의 불꽃과 이른바 ‘참교육 1세대’들의 참교육운동 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전자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편집인 주> [...]
[기자회견 자료] “평택사태가 아니라 평택평화항쟁이다!” 평택의 평화적 생존투쟁을 테러로 선전하는 언론 규탄 기자회견 ∙일시 : 2006년 5월 16일(화) 오전 10시∙장소 : 프레스센터 앞∙ ∙주최 [...]
[삶_세상]은...잊혀지고, 사라지는 삶을 ‘기억’하는 것은 ‘기록’의 힘으로 남는다. [삶_세상]은 이 시대와 공간을 공유하고 있는 가난한 사람들의 ‘살아가고, 살아지고, 살아내는’ 삶을 보여주고 싶다. [...]
글 싣는 차례1) 탄생의 배경과 한계, 2) 논쟁조항 살펴보기-재산권 조항, 3) 논쟁조항 살펴보기-사회보장권 조항, 4) 논쟁조항 살펴보기-교육권 조항, 5) 논쟁조항 살펴보기-노동권 조항, 6) 그 밖의 [...]
<지지 성명> 동성고는 학생인권 보장 요구에 응하라! 동성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오병헌 학생이 폭로한 학교의 인권유린실태를 접하고 우리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학생에 대한 비인간적인 체벌 [...]
< 성 명 서 > 반인권적 학도호국단 운영을 즉각 중단하라! - 국가인권위원회의 진정 각하와 교육부의 정보 비공개 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