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과거청산 작업 어디까지 왔나

16-21일 민족민주열사 합동추모제 열려


올해로 7번째를 맞는 '민주화운동 명예회복 및 민족민주열사·희생자 합동추모제'가 16일부터 시작된다. 이번 추모제 기간에 준비되는 영정은 모두 2백67인.

5·18특별법이 제정되고 전직대통령이 재판을 받고 있지만 아직도 이들의 문제는 관심의 뒷전에 밀려 있다. 따라서 이번 합동추모제를 통해 의문사 진상규명과 열사 추모사업 등 과거청산의 또다른 한 축이 얼마만큼 사회적 문제로 이슈화될 것인가가 중대한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합동추모제를 준비하는 관계자들은 예년과는 다른 자세로 올해 행사를 맞이하고 있다. 이번 행사를 통해 △의문사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을 위한 특별법 제정 △열사들에 대한 보훈사업 △군사정권에 의한 피해자들의 구제와 명예회복 △국보법과 노동악법 등 악법 개폐 △열사추모관 건립 등의 문제 등은 꾸준히 제기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가 단순한 구호 차원의 문제제기가 아니라 사회적 힘을 모을 수 있어야 한다는 판단 하에 다각적 모색이 이뤄지고 있다.

박찬영 유가협 사무국장은 현 상황에 대해 "김영삼 정부 집권 이후 달라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정부는 열사와 희생자 문제 해결에 전혀 의지가 없다"고 평가했다. 더불어 "차기 정권까지 넘어가면 아예 이 문제가 매장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며 "대통령 선거 때 이 문제가 논의될 수 있도록 강력하게 추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윤명선 합동추모제 중앙집행위원장은 "개별적 명예회복은 의미가 없다"며 "이번 추모제를 계기로 추모사업의 전국적 구심체를 형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위원장은 학문적 차원의 검토작업도 필요하다며 10월중으로 학술세미나를 개최할 구상을 밝혔다.

이번 제7회 합동추모제엔 '열사의 거리' 선포사업이 새롭게 진행된다. 민족민주 열사의 정신을 되새기자는 취지에서 청계천은 '전태일의 거리', 명동은 '조성만의 거리' 등으로 명명하게 된다. 16일부터 진행되는 기념주간 동안 명동, 가리봉 5거리, 동대문운동장 등에서 추모행사가 열릴 예정이며, 합동추모제는 21일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열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