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의 인권이야기] 평화를 지키려 하는데 평화는 자꾸만 흔들립니다
야! 이, 개새끼야! 고래고래 소리를 쳐도 듣지 않는 경찰들은 욕지기가 나와야 뒤를 흘끔 쳐다보곤 한다. 경찰 수십 명과 혹은 수백 명과 싸우는 이 먼지 나는 거리에선 도통 이성적인 대화는 가능하지 않다. [...]
야! 이, 개새끼야! 고래고래 소리를 쳐도 듣지 않는 경찰들은 욕지기가 나와야 뒤를 흘끔 쳐다보곤 한다. 경찰 수십 명과 혹은 수백 명과 싸우는 이 먼지 나는 거리에선 도통 이성적인 대화는 가능하지 않다. [...]
빈곤한 처지 = 빈곤한 삶? 꽃님이는 중학생이 된 뒤 어느 때부턴가 코스프레(만화나 게임의 등장인물로 분장하여 즐기는 놀이)에 관심을 가지더니, 침울하고 무기력하던 모습에서 다시 활기가 느껴졌다. 같은 취 [...]
서로 다른 사람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은 사실 쉬운 일이 아니야. “차별 없이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해야 해.”라는 말은 하기 쉽지만 현실에서 그런 일은 잘 일어나지 않아. 2011년 8월 서울역에 [...]
쌍차해고노동자 대한문 분향소. 어떤 날은 눈부신 봄 햇살이 서럽고 어떤 날은 작은 연대의 몸짓으로 웃음이 넘칩니다. 이 정권과 경찰은 툭하면 이곳을 치고 들어옵니다. 어느 날은 음향기기가 들어온다고 막아 [...]
얼마 전 <한겨레>에는 북한 인권 문제를 대하는 진보진영의 ‘불편한 진실’에 대한 오태규 논설위원의 칼럼이 실렸다. 그는 칼럼에서 “북한 인권 문제는 진보진영이 안고 있는 곤혹스런 주제 중 하나” [...]
표준어는 흔히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의한다. 중학생 때인가, 고등학생 때인가 이 정의를 처음 접했는데 ‘교양 있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잠시 고민했었던 기억이 난다. 객관식 암기 [...]
3년만이에요. 다시 사랑방 활동을 시작 해보겠다는 얘기를 꺼냈습니다. 아주 조심스럽게 말이죠. 직장 여건이 허락하지 않아 활동을 쉬면서도, 돌려줘야 하는 빌린 물건을 쓰고 있는 것 마냥 불쑥 무거운 마음 [...]
4월에는 ‘내 인생의 한 표’를 아그대다그대 이야기합니다. 바람소리 한 표가 아쉬웠던 기억이 난다~ 92년 대선에서 민중후보가 나갔을 때 내 동생이 처음으로 20살이 되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
1. 드뎌 집들이^^ 했어요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이사를 끝내고 조촐하게 집들이를 했어요. 김치전과 부추미나리전, 동태전 등 전 3종과 주먹밥, 냉채와 코다리찜, 우거지볶음과 묵밥... 정말 맛난 음 [...]
좀처럼 뜨지 않는 선거 국면이다. 사찰 건으로 북새통을 이루는 바람인지 모르겠다. 빨간색으로 산뜻하게 변신을 시도한 새누리당의 모습에서 좀처럼 과거 한나라당을 찾기는 힘들다. 선거에 최고의 전문가를 모셔놓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