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100만 원혼의 통곡, 이제는 멈추게 해야

민간인학살 피해유족들, "한나라당은 과거청산에 적극 나서라"

15일 오후 2시 서울 염창동 한나라당사 앞에는 삼베로 만든 두건을 쓴 100여명의 상주들이 모였다. "시골에서 농사짓고 살던 사람들이 뭐를 잘못했다고…" 한국전쟁전후 왜 죽어야 하는지도 모르고 공권력에 의해 비명에 간 사람들의 유족들은 시신도 찾지 못한 채 제사 한번 제대로 지내지 못했다. 그렇게 한을 가슴에 새기며 반세기를 지냈다. 이들이 한나라당사 앞에 모인 이유는 무엇일까.

13일 올바른과거청산을위한범국민위원회(준)와 열린우리당이 각각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을 포함한 포괄적 과거청산관련 법안을 발표하는 등 그동안 은폐·조작되어온 국가권력에 의해 저질러진 반인도적인 범죄에 대한 진상규명 작업이 본 궤도에 올랐다. 그러나 한나라당과 보수언론들은 과거청산에 대해 친북좌익 활동 조사 등을 거론하며 색깔논쟁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에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아래 범국민위원회)는 전국유족대회를 열고 "과거청산이 본격화되고 있지만, 한나라당은 여전히 국론분열 운운하며 진상규명을 축소하려 하고 있다"며 한나라당도 과거청산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어 한나라당의 역사연구에 맡기자는 '학술적 과거청산' 주장에 대해 "진상규명을 해야할 국가의 의무를 민간에 넘기며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라며 "이는 사실상 과거사 은폐 시도일 뿐"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범국민위원회 이창수 특별법쟁취위원장은 "과거청산은 좌·우익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가 인권 유린한 것을 드러내는 작업"이라고 강조했다.

한나라당에 대한 성토는 16대 국회로 거슬러 올라간다.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이영일 소장은 "민간인학살에 대한 특별법이 16대 국회의 본회의까지 상정됐지만 한나라당의 반대로 부결되었다"며 한나라당은 잘못을 뉘우치고 과거청산에 동참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산청유족회 정맹근 회장도 "한나라당은 과거사에 죄를 짓고 있는 당"이라며 "과거청산을 정쟁의 도구로 삼지 말고 철저한 진상규명이 가능한 강력한 진사규명 기구 설립에 앞장서라"고 꾸짖었다.

이날 전국유족대회는 '민간인학살과 과거청산 완전 해결하라'는 내용이 적힌 종이를 비행기로 접어 한나라당사 안쪽으로 날리면서 마무리가 됐다. 규가족들은 오는 11월 5일 여의도에서 합동위령제를 열고, 권한 있는 과거청산법 제정을 촉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