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번역] 나프타, 암흑의 터널을 벗어나기 위하여
Ⅳ. 결론 : 나프타(NAFTA)의 오늘 오늘날 NAFTA는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고, 그 범위 내에서 부문별 협상, 특히 농업부문은 멕시코에서 일어난 많은 사회적 저항에도 [...]
Ⅳ. 결론 : 나프타(NAFTA)의 오늘 오늘날 NAFTA는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고, 그 범위 내에서 부문별 협상, 특히 농업부문은 멕시코에서 일어난 많은 사회적 저항에도 [...]
Ⅲ. 멕시코의 마낄라도라(Maquiladora) 시스템 : 시우다드 후아레즈(CIUDAD JUÁREZ) 사례연구 마낄라도라 생산시스템은 멕시코 북부지역에서 수출 하청산업(IME)을 육성하기 위해 1965년 [...]
<신자유주의와 인권> 1. 하반기 활동계획 준비 중 상반기 주거인권학교를 마치고 하반기에 무엇을 할지 논의 중 입니다. △강제퇴거 △개발 △공공임대주택 문제 등 하고 싶고, 해야 할 것은 [...]
지난 6월 29일, 민주성노동자연대가 선포한 성노동자의 날 1주년 기념행사가 평택에서 열렸다. 가만히 앉아있어도, 비를 맞고 있는 듯 땀이 흐르는 무더운 날씨였다. 하얀 색 마스크 밑으로 흐르는 땀을 연신 [...]
빈곤은 사람이 사람답게 살기 위해 보장받아야 할 능력과 기회를 총체적으로 박탈당한 상태이며, 인권이 전반적으로 침해된 상황이다. 빈곤을 인권의 문제로 제기하는 이유는 그것이 개인의 무능력이 아니라 사회구조적 [...]
[편집자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2차 본협상이 궤도에 오르면서 ‘자유무역’이라는 이름의 총체적 인권 박탈에 대한 우려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인권오름>은 우리보다 앞서 자유무역협정에 의한 [...]
4일 오전 10시 30분, 추적추적 비가 내리고 있는 서울 혜화동 동성고등학교 정문 앞에 한두 명씩 사람들이 속속 모여들기 시작했다. 이내 그들은 갖가지 피켓을 들고 마이크를 들고 외쳤다. ‘학생인권 침해행 [...]
북한에 인권문제를 제기하면 인권문제는 있지도 않으며 있을 수도 없다고 한다. 왜냐하면 자신들의 사회주의는 완벽하게 인권을 보장하는 체제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납북자 문제에서도 그와 유사한 얘기를 할 수 있 [...]
<기자회견문> HIV/AIDS 감염인 인권증진이 바로 에이즈예방이다 에이즈가 발견된 지 25년, 한국에서 HIV 감염인이 확인된 지 21년이 지났다. 그러나 한국의 에이즈 인권 현실은 전혀 변하지 [...]
<편집자 주> 80년대 고등학생운동사를 연구하고 있는 양돌규 님이 청소년인권운동의 역사를 추척해가는 본지의 기획에 지지의 뜻을 보내며, 1989년 한해 동안 전개됐던 중고등학생 투쟁 일지를 정리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