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원
최근 ‘집’과 관련된 SNS 계정을 운영하는데, 가끔 집이 아닌 파편적인 나에 관한 포스팅을 하곤 한다. 주로는 ‘인권으로 읽는 세상’을 쓸 때 ‘글쓰는 괴로움’ 내지는 ‘마감’에 관한 것인데, 지인 기반이 아닌 SNS 계정인지라 팔로워들은 어쩌면 내가 글로 먹고 사는 사람이라고 미루어 짐작할 수도 있을 거 같다. 문제의 그날 역시 글을 마감한 날이었다. ‘글을 털었다’는 포스팅에 민망하게도 여러 사람이 축하 댓글을 남겼다. 이에 나는 어느 축하 댓글에 ‘한달 뒤에 다시 맛 볼 기쁨’이라는 댓글을 달았다. 그리고 몇일 뒤 다시 본 그 댓글에는 ‘한달 뒤에 다시 맞볼 기쁨’이라고 쓰여 있었다... 더 이상 글을 업으로 사는 사람 행세는 하기 어려울 예정이다...
대용
오타, 맞춤법, 비문 등에 둔감하다. 타고난 면도 있고, 노력도 안 했고, 약간의 고집까지 있다. 짜장면과 같이 비표준어가 표준어가 되는 것을 보면 처음부터 정해진 맞춤법은 없고, 뭐든 뜻만 전달하면 글자의 모양쯤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고집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그 고집에서 멀어지는 중이다. 부정확한 단어와 문장이 의도를 전달하지 못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려고 노력 중이다. 덕분에 최대한 글을 적게 쓴다. SNS를 포함하여 사적인 글쓰기는 거의 쓰지 않고, 활동가로서 피할 수 없을 때만 쓴다. 틀린 문장을 쓰지 않기 위해 글 자체를 쓰지 않는 이 딜레마를 어찌하면 좋으리까.
세주
회사일을 하며 보고서, 계획서를 작성하다 보면 오타가 발생하는데 그것'만'을 잡아내는 상사가 있는가 하면, 크게 신경 안ㅆ는 사람도 있다. 나는 생각보다 오타가 별로 안 나는 편이고 타인의 오타를 잘 발견하는 편인데, 지난 상사는 나에게 항상 본인의 보고서의 오타 교정을 요청 하였다. 빨간펜을 들고 상사의 보고서를 보는 것은... 그리 유쾌하지 않다. 그렇게 시켜서 찾는 것보다 우연히 찾아내는 게 훨씬 통쾌하다. 오타날 수도 있지... 내용이 중요한 것이다... 라는 핑계는 사실 통하지 않는다. (오타 있나요?? ㅎㅎ)
미류
나는 오타를 내지 않는다, 고 쓰고 싶다.
(여기 오타 없지? ^^;;;)
몽
지금까지의 내 삶은 온갖 크고 작은 오타와 함께 한 시간이라 할 수 있겠다. 오타 없는 삶을 바라지 않는다. 그저 활동에 큰 민폐를 끼치지 않고, 자잘한 수정가능한 민폐만을 끼치며 오타 내는 삶을 살기를 바랄 뿐...
아해
오타. 우리는 오타가 <우리가> 하는 실수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오타는 우리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손으로 맞춤법 틀리는 것, 타자기로 잘못 치는 것, 키보드 오타, 스마트폰 오타, 음성입력으로 인한 오타, 각각 내용과 성격이 오나전 다르다! 결국 우리의 오타조차 <과학기술의 발전에> 종속되어 있는 것이다!
정록
책을 읽으면 항상 오타를 찾아내는 사람을 안다. 전문가들이 여러 차례 교정교열을 거치고 프로그램도 돌렸을 텐데, 어김없이 오타가 등장하는 걸 보면 결국 최종 승인은 인간이 하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어쓰
오타와 비문에 예민한 편이다. 어느 정도냐면, 글에서 말도 안 되는 오타나 비문을 발견하면 글을 읽고 싶은 마음이 순식간에 가라앉을 정도로. 필자나 매체에게 기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성의라고 생각하면서도 내 반응이 조금 과한 건 아닌가 싶던 어느 날, '성격이 나쁜 사람일 수록 다른 사람의 문법적 오류에 민감하다'는 연구 결과를 접했다. 내 성격이 나빠서 그랬구나 생각하니 오히려 마음이 편해졌다.
다슬
내 인생의 오타는 계속 업데이트되는 것 같다. 아무리 몇 번이고 수정하고 읽어보아도 찾을 수 없는 오타. 내 눈은 자꾸 왜 이러는 걸까. 자책하게도 된다. 최근에 깨달은 게 있다면, 나 말고 누군가에게 보여주는 것이 오타를 빠르게 찾아내는 길이다. 내 눈은 후각처럼 예민하고, 피곤해지면 오타를 놓치게 된다. 같은 냄새를 어느 순간부터 못 느끼는 코처럼 말이다. 더는 같은 글을 읽지 말라는 눈(나)의 발악 같기도 하다.
민선
올해 사람사랑 편집을 맡았다. 인쇄본 편집할 때 지난호 파일을 열어 새로운 내용을 가져다 붙이면서 하는데, 이런! 5월호 아그대다그대 주제가 “내 인생의 처음 먹어본 음식”이었는데, 6월호 “내 인생의 전자제품”을 갖다 붙이다가 실수를... 그리하여 지난호 아그대다그대 한면의 제목이...ㅠ
![]()
이번호 주제를 “내 인생의 오타”로 정하게 된 배경. 복붙할 때 주의하자는 교훈(?)을 나누며, 몇몇 분이 발견해서 제보(?)를 주셨는데 꼼꼼하게 살펴 읽어주어 고맙다는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ㅎㅅ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