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변혜진의 인권이야기

빈곤,신자유주의,인권의 문제로 에이즈를 보자

12월 1일은 유엔이 지정한 ‘세계 에이즈의 날’. 국제적 에이즈운동단체인 액트업(ACT UP)은 “전쟁에 쓸 돈을 에이즈에” 라는 슬로건을 갖고 10월 26일 국제반전행동의 날에 참가했다. 액트업은 반세계화 집회가 있었던 99년 시애틀, 2000년 제노바, 2002년 유럽사회포럼이 열린 피렌체에서 에이즈 문제를 해결하라며 반세계화 행진에 결합했다.

에이즈 문제를 해결하고자 모인 이 단체가 ‘반세계화’와 ‘반자본주의 운동’에 결합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침묵=죽음’이라는 모토를 걸고 뉴욕 맨하탄 동성애자 지역봉사센터에서 결성되기 시작한 ‘직접행동’ 조직, 액트업은 에이즈 문제가 단지 질병의 문제가 아니고 빈곤과 계층의 문제라는 점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에이즈 환자의 95%는 저개발국에 집중돼있고 특히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국가들에 2천8백만 명이 몰려 있다. 또 계층적으로도 의료 접근권이 취약한 사람들에게 훨씬 더 감염율이 많다.

그런데 우리사회에선 아직도 에이즈를 동성애로 인한 것이라거나 ‘성적 문란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오해되고 있다. 동성애자인권연대나 에이즈감염인모임(러브포원)등의 투쟁을 통해 동성애자나 에이즈환자들의 인권에 대한 자각이 조금씩 넓어지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에이즈환자들에 한해선 격리시켜야 하는 대상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대다수다. 얼마 전 어엿한 종합일간지(세계일보)에서 에이즈 환자에게 마이크로 칩을 삽입해 관리해야 한다고 발언한 것만 봐도 그 편견과 무지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다.

얼마 전 ‘구금시설 의료실태 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예비조사에서 에이즈환자로 판명된 재소자를 무조건 ‘격리’ 해야 한다는 교도관들의 무지 때문에 ‘결핵병동’에 구금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다는 이야기가 알려졌다. 에이즈는 면역결핍이 문제가 되는 질병인데(병명을 보라!) 그런 환자를 결핵병동에 구금했다니! 그 재소자는 당연히 결핵에 감염됐고 병이 악화됐다.

에이즈는 B형간염보다도 감염성과 독성이 떨어지는 질병이다. 그런데 에이즈 환자와 손만 잡아도 병이 옮는다고 생각하거나, 무언가 ‘더러운’ 질병이라고 생각하게 만든 것은 정부의 무책임과 무지에서 비롯된 것들이다. 한술 더 떠 종교적 이데올로기가 또 한번 에이즈 환자들을 편견과 죽음으로 몰아가고 있다. 얼마전 로마교황청은 ‘순결만이 질병예방에 최선책’ 이라는 전제 아래 에이즈 예방을 위해 콘돔사용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이것은 아프리카의 가톨릭 신자들에게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교황의 말씀을 지키면서 순교할 것인가 아니면 교황의 말씀을 거스르면서 살아남을 것인가의 문제인 것이다.

전 세계에서 이미 에이즈로 2천만 명이 사망했고 작년 한해에만 3백만명이 사망했다. 그러나 2천8백만명의 남반구 환자들 중에 0.09%, 즉 약 2만7천명만이 치료를 받고 있다. 에이즈치료제를 개발한 제약회사들이 고가의 약값을 고수하기 때문이다. 선진국시장에서 비싼 값에 파는 것이 최대의 이윤이라는 것이 이들 제약회사가 고가의 약가를 고수하는 이유다. 더욱이 이들은 자신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에서 싼값의 일반약을 생산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이것이 세계화와 무역자유화의 실체다.

에이즈감염인과 환자들은 바이러스에 의해 고통받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빈곤 때문에,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때문에, 그리고 사회적 편견과 차별 때문에 고통받고 있다. 병이 난 것은 에이즈 감염인들이 아니다. 병에 걸린 것은 이 미쳐버린 세계이고 편견과 무지에 사로잡힌 우리들이다.

(변혜진 씨는 보건의료단체연합의 기획부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