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리1] 사회의 미래를 만들 오늘의 운동, ‘사회운동포럼’
정부는 나락으로 떨어져가고 있는 민중들의 삶을 확실히 통제하기 위해 비정규악법을 만들더니 집회시위의 자유마저 봉쇄하기 위해 집회 시위 시 복면 착용 금지를 법제화 하려 하고 첨단장비를 동원하여 사진채증도 강 [...]
정부는 나락으로 떨어져가고 있는 민중들의 삶을 확실히 통제하기 위해 비정규악법을 만들더니 집회시위의 자유마저 봉쇄하기 위해 집회 시위 시 복면 착용 금지를 법제화 하려 하고 첨단장비를 동원하여 사진채증도 강 [...]
<수상 이유>사건의 개요 5월 어느 날, 법무부 장관이 ‘ㄱ’초등학교를 방문한다. 그 직후,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장관님께 지금껏 법을 지키지 못했던 것을 반성하고 법을 잘 지키겠다는 내용’으로 [...]
1. 평화대행진 때 평택경찰서 항의방문건 2심에서 벌금 선고 지난 해 7월 평택 평화대행진 때 평택경찰서 항의방문 건으로 기소된 사건의 2심 선고가 8월 22일 발표되었어요. 래군 활동가는 벌금 70만원, [...]
2007년 2월, 졸업과 동시에 (동원예비군으로도 모자라서) 산업예비군으로 전락(?)했습니다. 대략 한 달 뒤, 인권운동사랑방을 찾아 나섰습니다. 솔직히 그럴듯한 이유는 없었습니다. 꾸며서 말한다면 세상과 [...]
인권교육이 우리 사회에서 싹을 틔운 지 10여년이 훌쩍 넘었다. 이제는 인권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영역도, 교육 주체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유행처럼 여기저기서 인권교육의 ‘붐’이 일기도 한다. 하지만 마냥 ‘ [...]
올해로 9년째다. 강산도 변한다는 10년 가까운 시간 동안에 방글라데시에 있는 가족들이 어떻게 변했을지 타구르(가명)씨는 머릿속으로만 그릴 수 있을 뿐이다. 타구르씨는 1998년에 한국에 입국하여 일하고 [...]
<번역자 주>유로토피아는 레드 페퍼 등 유럽의 저널들이 함께 만들고 초국적 연구소 등이 후원하는 비정기 공동 저널이다. 유럽사회포럼과 지중해사회포럼의 정신에 영감을 얻어, 초국적 소통과 논쟁이라는 [...]
1. 2/4분기 총회 주요 결정 보고 합니다 6월 23일 2/4분기 총회가 개최되어, 아래와 같은 내용을 결의했어요. 결의내용을 중심으로 인권운동사랑방 조직 운영과 멤버쉽에 관한 결정사항을 보고합니다.
<Tr> <Td>사랑방 상임활동가들에겐 1년에 한 달 동안 휴가가 주어진답니다. 올해에는 이 한 달 휴가를 이용해 친구 한 명과 함께 중국여행을 다녀왔습니다. 베이징과 함께 중국의 가장 [...]
교실처럼 꿈틀이와 오붓하게 모여앉아서 뭔가를 할 수 있는 공간도 아니란다. 게다가 몇 백 명의 꿈틀이와 함께 해야 한단다. 과연 인권교육이 가능할까? 하지만 ‘긴급 상황’이다. 비정규직 대량해고에 맞서 매장 [...]